전세계 '셧다운'에도 中 4월 수출 늘었다는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 충격에도 3.5% 증가
'일대일로' 관련국 무역 늘어
1분기 주문 밀어내기 영향도
봉쇄 안풀려 내달 전망은 암울
'일대일로' 관련국 무역 늘어
1분기 주문 밀어내기 영향도
봉쇄 안풀려 내달 전망은 암울
지난달 중국의 수출이 시장 예상을 깨고 증가세를 나타냈다. 수입은 내수 침체로 예상치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중국 관세청은 4월 수출이 달러 기준 2002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다고 7일 발표했다. 해외 수요 둔화로 전달보다 감소폭이 커졌을 것이란 시장 전망을 크게 벗어났다. 3월만 해도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다.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4월 수출이 작년 동기보다 각각 15.7%, 11.0%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관세청은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및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관련국과의 무역이 증가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으로의 수출 감소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올 들어 4월까지 아세안과의 교역액은 전년 동기 대비 5.7% 늘었다. 일대일로 참여국과의 수출입도 지난해 동기보다 0.9%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전체 교역에서 아세안 및 일대일로 참여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4.9%, 30.4%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미국 및 EU와의 교역액은 각각 12.8%, 6.5% 감소했다. 일본과의 교역도 2.1% 위축됐다.
중국 기업들이 올해 1분기에 받아놓은 주문을 4월에 수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중국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1~2월 전국으로 확산하다가 3월 중순부터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 여파로 대부분 기업이 3월까지 공장을 제대로 돌리지 못했다.
지난달 수출이 깜짝 호조를 보였지만 증가세가 계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영국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 대상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5월 수출은 다시 상당폭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4월 수입은 1549억4000만달러에 그쳤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2% 감소했다. 3월(-11.2%)에 비해 감소율이 커졌다. 중국 내 소비 위축세가 지속되고 수입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게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1~4월 원유 수입량은 1억7000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지만 t당 평균 수입 가격은 9% 가까이 떨어졌다. 석탄과 천연가스 역시 마찬가지였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453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3월(191억달러)보다 흑자 폭이 두 배 이상 늘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
중국 관세청은 4월 수출이 달러 기준 2002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다고 7일 발표했다. 해외 수요 둔화로 전달보다 감소폭이 커졌을 것이란 시장 전망을 크게 벗어났다. 3월만 해도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다.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4월 수출이 작년 동기보다 각각 15.7%, 11.0%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관세청은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및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관련국과의 무역이 증가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으로의 수출 감소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올 들어 4월까지 아세안과의 교역액은 전년 동기 대비 5.7% 늘었다. 일대일로 참여국과의 수출입도 지난해 동기보다 0.9%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전체 교역에서 아세안 및 일대일로 참여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4.9%, 30.4%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미국 및 EU와의 교역액은 각각 12.8%, 6.5% 감소했다. 일본과의 교역도 2.1% 위축됐다.
중국 기업들이 올해 1분기에 받아놓은 주문을 4월에 수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중국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1~2월 전국으로 확산하다가 3월 중순부터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 여파로 대부분 기업이 3월까지 공장을 제대로 돌리지 못했다.
지난달 수출이 깜짝 호조를 보였지만 증가세가 계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영국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 대상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5월 수출은 다시 상당폭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4월 수입은 1549억4000만달러에 그쳤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2% 감소했다. 3월(-11.2%)에 비해 감소율이 커졌다. 중국 내 소비 위축세가 지속되고 수입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게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1~4월 원유 수입량은 1억7000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지만 t당 평균 수입 가격은 9% 가까이 떨어졌다. 석탄과 천연가스 역시 마찬가지였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453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3월(191억달러)보다 흑자 폭이 두 배 이상 늘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