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클럽서 확진 오늘만 12명…사회적 거리두기로 회귀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 건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전환 안해…방역수칙 준수 필요 보여주는 사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방문한 서울 이태원 클럽에서 접촉자들이 무더기로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6일부터 시행한 '생활방역'의 한계가 나타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하나의 사건만으로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하지는 않는다며, 생활 속 거리두기 하에서 개개인의 감염확산 통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이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13명이 추가됐다.
모두 지난 6일 확진 판정을 받은 경기도 용인 거주 29세 남성의 접촉자로, 이 중 12명이 황금연휴 기간 그가 다녀간 이태원 클럽 내 접촉자였다.
용인 확진자의 클럽 내 접촉자는 최소 1천500명으로, 추가 확진자가 집단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
그가 클럽에 방문한 2일 당시는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던 때로, 유흥업소가 영업활동을 하더라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1∼2m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등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하는 행정명령이 유효한 시기였다.
정부는 4월 20일부터 5월 5일까지 종교·유흥·실내체육시설과 학원 등 4대 집단시설에 대한 '운영중단' 권고를 '운영제한' 권고로 완화했고, 이달 6일에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이행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기간임에도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것은 이들 시설에서 방역수칙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에도 방역수칙이 잘 지켜지지 않았는데 '권고'에 불과한 생활 속 거리두기 아래서는 더욱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클럽 내 밀접접촉이 이뤄진 시기 자체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기 이전이어서 안타깝다"며 "역학조사 과정에서 방역수칙이 잘 이행됐는지 지자체와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이 한 건으로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회귀할 가능성은 적다고 설명했다.
그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다고 하더라도 산발적인 소규모 집단감염 사례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일상으로 복귀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 악화 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는 기준에 대해서는 "하루 확진되는 신규 환자가 50명 이내인지, 방역 통제망을 벗어난 사례가 5% 이하인지 등이 일반적인 기준이지만 절대적 기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확진 사례가 더 많더라도 방역망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경우라면 제대로 관리되고 통제된다는 뜻"이라며 "위험도 전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방역당국은 이번 클럽 사례가 생활 속 거리두기에서 방역 수칙의 준수가 왜 필요한지를 절실히 보여주는 사례라며 개개인이 방역주체로서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번 클럽 사례는 생활 속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가 왜 필요한지를 절실하게 보여주는 예"라면서 "개개인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 감염의 규모를 최소화하고 확산 속도를 늦추는 노력을 해달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방문한 서울 이태원 클럽에서 접촉자들이 무더기로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6일부터 시행한 '생활방역'의 한계가 나타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하나의 사건만으로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하지는 않는다며, 생활 속 거리두기 하에서 개개인의 감염확산 통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이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13명이 추가됐다.
모두 지난 6일 확진 판정을 받은 경기도 용인 거주 29세 남성의 접촉자로, 이 중 12명이 황금연휴 기간 그가 다녀간 이태원 클럽 내 접촉자였다.
용인 확진자의 클럽 내 접촉자는 최소 1천500명으로, 추가 확진자가 집단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
그가 클럽에 방문한 2일 당시는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던 때로, 유흥업소가 영업활동을 하더라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1∼2m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등 방역수칙을 준수해야 하는 행정명령이 유효한 시기였다.
정부는 4월 20일부터 5월 5일까지 종교·유흥·실내체육시설과 학원 등 4대 집단시설에 대한 '운영중단' 권고를 '운영제한' 권고로 완화했고, 이달 6일에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이행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기간임에도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것은 이들 시설에서 방역수칙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에도 방역수칙이 잘 지켜지지 않았는데 '권고'에 불과한 생활 속 거리두기 아래서는 더욱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클럽 내 밀접접촉이 이뤄진 시기 자체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기 이전이어서 안타깝다"며 "역학조사 과정에서 방역수칙이 잘 이행됐는지 지자체와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이 한 건으로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회귀할 가능성은 적다고 설명했다.
그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다고 하더라도 산발적인 소규모 집단감염 사례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일상으로 복귀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 악화 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는 기준에 대해서는 "하루 확진되는 신규 환자가 50명 이내인지, 방역 통제망을 벗어난 사례가 5% 이하인지 등이 일반적인 기준이지만 절대적 기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확진 사례가 더 많더라도 방역망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경우라면 제대로 관리되고 통제된다는 뜻"이라며 "위험도 전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에 따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방역당국은 이번 클럽 사례가 생활 속 거리두기에서 방역 수칙의 준수가 왜 필요한지를 절실히 보여주는 사례라며 개개인이 방역주체로서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번 클럽 사례는 생활 속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가 왜 필요한지를 절실하게 보여주는 예"라면서 "개개인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 감염의 규모를 최소화하고 확산 속도를 늦추는 노력을 해달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