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후원금 41% 피해자 지원에 써…회계 미진은 사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안부 피해자 생활 안정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
"전시 성폭력 개념 세운 세계적 여성인권단체"
정의연 둘러싼 언론 보도 강한 유감 드러내기도
"전시 성폭력 개념 세운 세계적 여성인권단체"
정의연 둘러싼 언론 보도 강한 유감 드러내기도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해 모금된 성금을 피해 당사자들에게 전달하지 않고 불투명하게 운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회계 작업에 미비한 점은 있었으나 기관운영에 큰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논란이 된 의혹은 피해 당사자와 기관 사이의 오해에서 불거진 것이라는 입장이다.
정의연은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인권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기자회견 시작에 앞서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한 뒤 허리를 숙여 인사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이 성금·기금을 받아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며 "성금을 어디에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다.
이에 정의연은 입장문을 내고 "모금 사용 내역을 정기적인 회계감사를 통해 검증받고 공시 절차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단체 회계 관련 논란이 계속되자 정의연은 이날 추가로 기자회견을 열고 해명에 나섰다.
정의연은 "(자신들이)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 안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적 지원단체가 아니다"라며 "피해자들과 함께 보편적 인권문제로서 전시 성폭력의 개념을 세우고 확산시켜온 세계적인 여성인권운동단체"라고 규정했다.
자신들이 사업이 피해자에게 직접 후원금을 전달하는 사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결하기 위한 홍보활동, 국·내외 연대활동, 추모사업, 정부·국회 대응과 입법활동 등 다양하다는 설명이다.
또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일반 기부금 수입 중 목적기금으로 사용처가 있는 금액을 뺀 22억1965만원에서 피해자지원사업비로 사용된 금액은 9억1145만원이라며 41%의 비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 사무총장은 이 비용에 활동가들이 피해자들을 보살피는 인건비를 책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 사무총장은 회계내용을 공시하는 과정에서 기부금 수혜 인원을 '999' '9999'등 임의의 숫자로 기재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미진했다"라며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사과드리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수요시위 관련 기부금 사용에 대해서도 정의연은 지난해 기준 수요시위를 통해 기부를 받음 금액이 460만원 수준인데 수요시위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한 금액은 1억1000만원이 넘는다며 수요시위 당시 모인 돈들의 사용처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시위 진행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의 정의연 활동시절 어느 정도의 급여를 받았는지, 대표를 겸임한 다른 단체에서 중복으로 급여를 수령한 사항을 묻는 질문이 나왔지만 정의연 측은 기자회견 취재와 맞지 않는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다만 정의연 측은 윤 전 이사장이 정의연에서 근무하면서 활동했던 내용에 비해 턱없이 적은 급여가 지급됐으며 "윤 전 이사장은 30년 동안 전국을 다니면서 수십차례 강연을 해서 반은 강연비를 (이 활동에) 기부한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10억 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전면 부인했다.
이상희 정의연 이사는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하게끔 했다. 할머니들을 일일이 방문해 의사를 확인했다"며 "할머니들에게 위로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이 이사장은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 이어진 정의연을 둘러싼 언론 보도에 강한 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피해자와 활동가들이 일궈낸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라며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때 용감한 피해자와 헌신적인 활동가·연구자들이 이 운동을 만들어왔다. 그런데 여러분이 그 역사를 알고 있는지 솔직히 의구심이 들었다"고 항변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장 바깥에서는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위안부인권회복실천연대' 관계자들이 피켓을 들고 윤 전 대표와 정의연 측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정의연은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인권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기자회견 시작에 앞서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한 뒤 허리를 숙여 인사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이 성금·기금을 받아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며 "성금을 어디에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다.
이에 정의연은 입장문을 내고 "모금 사용 내역을 정기적인 회계감사를 통해 검증받고 공시 절차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단체 회계 관련 논란이 계속되자 정의연은 이날 추가로 기자회견을 열고 해명에 나섰다.
정의연은 "(자신들이)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 안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적 지원단체가 아니다"라며 "피해자들과 함께 보편적 인권문제로서 전시 성폭력의 개념을 세우고 확산시켜온 세계적인 여성인권운동단체"라고 규정했다.
자신들이 사업이 피해자에게 직접 후원금을 전달하는 사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결하기 위한 홍보활동, 국·내외 연대활동, 추모사업, 정부·국회 대응과 입법활동 등 다양하다는 설명이다.
또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일반 기부금 수입 중 목적기금으로 사용처가 있는 금액을 뺀 22억1965만원에서 피해자지원사업비로 사용된 금액은 9억1145만원이라며 41%의 비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 사무총장은 이 비용에 활동가들이 피해자들을 보살피는 인건비를 책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 사무총장은 회계내용을 공시하는 과정에서 기부금 수혜 인원을 '999' '9999'등 임의의 숫자로 기재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미진했다"라며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사과드리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수요시위 관련 기부금 사용에 대해서도 정의연은 지난해 기준 수요시위를 통해 기부를 받음 금액이 460만원 수준인데 수요시위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한 금액은 1억1000만원이 넘는다며 수요시위 당시 모인 돈들의 사용처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시위 진행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의 정의연 활동시절 어느 정도의 급여를 받았는지, 대표를 겸임한 다른 단체에서 중복으로 급여를 수령한 사항을 묻는 질문이 나왔지만 정의연 측은 기자회견 취재와 맞지 않는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다만 정의연 측은 윤 전 이사장이 정의연에서 근무하면서 활동했던 내용에 비해 턱없이 적은 급여가 지급됐으며 "윤 전 이사장은 30년 동안 전국을 다니면서 수십차례 강연을 해서 반은 강연비를 (이 활동에) 기부한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10억 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전면 부인했다.
이상희 정의연 이사는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하게끔 했다. 할머니들을 일일이 방문해 의사를 확인했다"며 "할머니들에게 위로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이 이사장은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 이어진 정의연을 둘러싼 언론 보도에 강한 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피해자와 활동가들이 일궈낸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라며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때 용감한 피해자와 헌신적인 활동가·연구자들이 이 운동을 만들어왔다. 그런데 여러분이 그 역사를 알고 있는지 솔직히 의구심이 들었다"고 항변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장 바깥에서는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위안부인권회복실천연대' 관계자들이 피켓을 들고 윤 전 대표와 정의연 측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