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접자"…개포주공 6·7단지에 무슨 일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00여가구 소형주택 배정 우려"
비대위, 조합설립 철회서 걷어
市에 정비구역 직권해제 요청도
비대위, 조합설립 철회서 걷어
市에 정비구역 직권해제 요청도

이곳에서는 지난해 2월 조합설립 동의율(75%)을 훌쩍 넘긴 82%의 주민동의율로 재건축 추진위원회가 설립됐다. 하지만 동의율을 낮추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내년 2월까지 강남구에 조합설립을 신청하지 못하면 일몰제에 따라 구역해제 대상에 포함된다.
비대위가 구성된 건 재건축의 밑그림에 해당하는 정비계획 때문이다. 2017년 수립된 정비계획에 주민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게 비대위 측 주장이다. 비대위 관계자는 “재건축으로 짓게 되는 2994가구 가운데 2000가구가량이 중소형 면적대”라며 “향후 조합원들이 분양신청을 할 때 400여 가구는 면적대를 넓히지 못하고 소형주택을 배정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비대위는 정비계획을 입안하는 과정에서 강남구가 주민공람 등의 절차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주민 김모씨는 “주민들은 강남구가 입안한 정비계획이 어떤 내용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다”며 “법에 명시된 조사와 확인 절차를 제대로 하지 않은 구청 담당자들을 감사원에 제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이달 초 아예 서울시에 정비구역 직권해제도 요청했다. 구역해제는 재건축 사업 자체를 물리는 절차다. 처음부터 밑그림을 다시 그리겠다는 것이다. 관철되지 않을 경우 구역지정 취소소송도 불사하겠다는 태세다.
주민 간 갈등으로도 번질 조짐이다. 한 주민은 “소수 세력인 비대위가 억지를 부리면서 사업을 막아서고 있다”며 “사업 지연으로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는 일을 벌인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