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욱 "투표용지 관리 실수? 진중권 주장 답변할 가치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혼표와 전산조작 동시에 했다"
"트집잡기식 질문은 답변 거부"
"트집잡기식 질문은 답변 거부"
![민경욱 미래통합당 의원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4.15총선 개표조작 의혹 진상규명과 국민주권회복대회'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최혁 한경닷컴 기자 chokob@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2005/03.22582482.1.jpg)
민경욱 의원은 11일 "세상이 뒤집어질 증거"라며 투표관리인의 날인 없이 기표되지 않은 비례투표용지를 공개했다. 이런 투표용지를 기존 투표함에 무더기 혼표해 선거 결과를 조작했다는 주장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민 의원 주장에 대해 "투표지가 유출된 것이 사실이라면 문제인 것은 맞다"면서도 "민 의원이 공개한 투표지가 실제 투표지인지 검증해봐야 한다"고 했다.
민 의원은 12일 <한경닷컴>과의 전화통화에서 '선관위에 투표지를 제공해 검증을 받을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생각해보겠다"고 답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고작 해야 그냥 선관위에 투표용지 관리 잘 하라고 하고 끝낼 일'이라고 평가한 것에 대해서는 "답변할 가치가 없다"고 했다.
하지만 선관위 측도 민 의원 주장에 대해 "투표지를 무더기 혼표해도 부정선거는 불가능하다"면서 "(혼표를 하게 되면)선거인수와 총득표수가 크게 차이 나게 된다. 현장에 개표참관인들도 있는데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기존 보수진영에서는 선거 조작 근거로 서울, 경기, 인천 투표가 63 : 36으로 일정한 비율로 나왔다는 점을 들었다. 혼표가 있었다면 일정한 비율이 나오기 힘들다'는 지적에는 "전산 조작과 혼표가 같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선거를 조작한 세력이 혼표를 한 후 혼표를 한 선거구에 전산조작을 또 했다는 것이냐'고 묻자 이 질문에는 답변을 하지 않았다.
민 의원은 이후 문자메시지를 통해 "정상적인 취재가 아니라 트집잡기식 질문이라서 답변을 거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이 외에도 민 의원이 주장하는 부정선거론의 맹점을 지적하는 시각이 많다.
일례로 민 의원은 "사전투표(용지)에 찍혀있는 QR코드에 전과와 병력, 납세, 이메일, 학력, 재산 등 개인 정보가 들어있다면 세상이 뒤집어지지 않겠습니까?"라며 "국민 5백만명의 개인 정보가 QR코드를 만드는 사전선거 관리시스템에 들어있다는 사실을 아셨습니까?"라고 주장했다.
민 의원 주장이 사실이라면 선관위가 해당 투표지를 사용한 유권자가 누구이며, 그가 어느 후보를 찍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비밀선거 원칙에 정면으로 어긋나는 일이다.
선관위 측은 그러나 "QR코드에 들어가는 정보는 선거명, 선거구명, 관할 선관위명, 투표지 일련번호 4가지 외에는 없다"고 일축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