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의장, 침체 장기화 우려…'마이너스 금리'엔 "고려 안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화상연설…"소득 5천만원 이하 40% 실직"
"마지막 障 아닐수도" 추가조치 여지…"이제 선출직 몫" 과감한 재정지출 주문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을 거론했다.
추가적인 통화정책 여지를 남겼지만 '마이너스 기준금리'엔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13일(현지시간)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주최 화상연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어떤 시기보다도 심각한 침체에 직면했다면서 "경기하강의 폭과 속도는 전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러스로 인한 것이어서 기존 경기 순환성 침체와도 성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심각한 경기하강 위험이 있다.
깊고 긴 충격은 경제 생산 능력에 지속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면서 "저성장과 소득 침체가 장기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가계와 기업체의 부채 부담이 향후 수년간 경제를 짓누를 수 있다고 진단하면서 통화정책 도구를 최대한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파월 의장은 "최근 연준 조사를 보면, 연소득 4만 달러(4천900만 원) 이하인 미국 가구 가운데 40%가 2월 이후로 실직했다"고도 설명했다.
실직대란이 주로 저소득층에 집중됐다는 얘기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경제가 상당히 회복되겠지만, 그 속도는 기대만큼 빠르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연준의 정책 대응이 시의적절하고 충분한 편이었다고 자평하면서도 "마지막 장(障)이 아닐 수 있다"며 추가 조치의 여지를 남겨뒀다.
연방정부와 의회에 대해선 적극적인 재정지출을 주문했다.
파월 의장은 "추가적인 재정지출은 비용이 많이 들겠지만, 장기적인 경제적 손실을 피하고 강한 경기회복을 도울 수 있다면 그럴 가치가 있다"면서 "이는 세제와 예산 권한을 행사하도록 선출된 대표자들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자' 역할로 제한된 중앙은행으로서는 최대한의 정책 역량을 발휘한 만큼, 이제는 직접적인 보조금 지원이 가능한 재정지출이 더욱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마이너스 금리'에 대해선 "연준의 시각이 달라지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파월 의장은 "그 정책을 지지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조치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마이너스 금리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면서 "우리는 좋은 정책 도구들을 갖고 있다"고 부연했다.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떨어뜨리고 파격적인 양적완화(QE) 정책을 개시하면서 금융시장이 상당 부분 안정된 상황에서 굳이 '마이너스 금리'라는 극약처방을 논쟁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미국 국채 선물시장에서는 일부 기간 물이 마이너스 금리 기대감을 반영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날 트윗을 통해 "다른 국가들이 마이너스 금리로 혜택을 보는 상황에서 미국도 선물(gift)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시장의 기대감에 힘을 실었다.
/연합뉴스
"마지막 障 아닐수도" 추가조치 여지…"이제 선출직 몫" 과감한 재정지출 주문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을 거론했다.
추가적인 통화정책 여지를 남겼지만 '마이너스 기준금리'엔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13일(현지시간)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주최 화상연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어떤 시기보다도 심각한 침체에 직면했다면서 "경기하강의 폭과 속도는 전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러스로 인한 것이어서 기존 경기 순환성 침체와도 성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심각한 경기하강 위험이 있다.
깊고 긴 충격은 경제 생산 능력에 지속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면서 "저성장과 소득 침체가 장기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가계와 기업체의 부채 부담이 향후 수년간 경제를 짓누를 수 있다고 진단하면서 통화정책 도구를 최대한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파월 의장은 "최근 연준 조사를 보면, 연소득 4만 달러(4천900만 원) 이하인 미국 가구 가운데 40%가 2월 이후로 실직했다"고도 설명했다.
실직대란이 주로 저소득층에 집중됐다는 얘기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경제가 상당히 회복되겠지만, 그 속도는 기대만큼 빠르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연준의 정책 대응이 시의적절하고 충분한 편이었다고 자평하면서도 "마지막 장(障)이 아닐 수 있다"며 추가 조치의 여지를 남겨뒀다.
연방정부와 의회에 대해선 적극적인 재정지출을 주문했다.
파월 의장은 "추가적인 재정지출은 비용이 많이 들겠지만, 장기적인 경제적 손실을 피하고 강한 경기회복을 도울 수 있다면 그럴 가치가 있다"면서 "이는 세제와 예산 권한을 행사하도록 선출된 대표자들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자' 역할로 제한된 중앙은행으로서는 최대한의 정책 역량을 발휘한 만큼, 이제는 직접적인 보조금 지원이 가능한 재정지출이 더욱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마이너스 금리'에 대해선 "연준의 시각이 달라지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파월 의장은 "그 정책을 지지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조치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마이너스 금리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면서 "우리는 좋은 정책 도구들을 갖고 있다"고 부연했다.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떨어뜨리고 파격적인 양적완화(QE) 정책을 개시하면서 금융시장이 상당 부분 안정된 상황에서 굳이 '마이너스 금리'라는 극약처방을 논쟁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미국 국채 선물시장에서는 일부 기간 물이 마이너스 금리 기대감을 반영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날 트윗을 통해 "다른 국가들이 마이너스 금리로 혜택을 보는 상황에서 미국도 선물(gift)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시장의 기대감에 힘을 실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