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거리가 없어서"…코로나19에 실직자 20년 내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들어 4월까지 실직자 규모가 200만명을 넘어섰다. 역대 최대다. 경기 부진으로 고용 사정이 좋지 않은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서다.
17일 추경호 미래통합당 의원이 통계청의 2000년부터 2020년까지 4월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4월 실직자 수는 207만6000명으로 실직 시기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207만6000명은 올해 1~4월 사이의 특정 날짜에 일자리를 잃었고, 이 같은 실직 상태가 조사시점인 지난달 17일까지 이어진 사람을 말한다. 같은 기간 비(非)자발적 실직자는 104만5000명으로 역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1∼4월 실직자 수와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고용대란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비자발적 실직자는 종전 최고치였던 2009년(63만8000명)에 비해 배 가까이 불어났다.
실직 사유 가운데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33만5000명)와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34만4000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20만5000명), '직장 휴·폐업'(16만명)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는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11만2000명)보다 배 가까이 늘면서 처음 20만명을 넘어섰고, 직장 휴·폐업으로 인한 실직 역시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8만3000명)보다 배로 늘면서 처음 10만명을 돌파했다.
실직자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속출했다. 올해 1∼4월 전체 실직자 207만6000명 가운데 5인 미만(1∼4인) 사업장에서 85만5000명, 5∼9인 사업장에서 45만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실직자 수가 많아졌다.
같은 기간 사업을 접은 자영업자는 총 14만6천명이었다. 이 가운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11만400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해, 영세한 자영업자가 고용 한파의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들어 실직자가 유례없는 수준으로 급증한 데에는 코로나19가 '직격탄'으로 작용했지만, 경기 부진으로 고용 사정이 어려운 점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직자 207만6천명을 실직이 발생한 시점별로 나눠보면 코로나19 피해가 본격화하기 이전인 1월과 2월에 43만3000명과 74만9000명에 달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3월에는 72만7000명이었다.
추 의원은 "지금의 고용대란은 코로나 피해뿐 아니라 현 정부의 경제 실패로 인한 고용 악화도 영향을 미쳤다"며 "정부는 경제 상황 악화를 코로나 탓으로 돌리며 선심성·면피성 대책으로 땜질식 처방을 할 게 아니라, 과감한 규제 혁파와 강도 높은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7일 추경호 미래통합당 의원이 통계청의 2000년부터 2020년까지 4월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4월 실직자 수는 207만6000명으로 실직 시기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207만6000명은 올해 1~4월 사이의 특정 날짜에 일자리를 잃었고, 이 같은 실직 상태가 조사시점인 지난달 17일까지 이어진 사람을 말한다. 같은 기간 비(非)자발적 실직자는 104만5000명으로 역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1∼4월 실직자 수와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고용대란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비자발적 실직자는 종전 최고치였던 2009년(63만8000명)에 비해 배 가까이 불어났다.
실직 사유 가운데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33만5000명)와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34만4000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20만5000명), '직장 휴·폐업'(16만명)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는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11만2000명)보다 배 가까이 늘면서 처음 20만명을 넘어섰고, 직장 휴·폐업으로 인한 실직 역시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8만3000명)보다 배로 늘면서 처음 10만명을 돌파했다.
실직자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속출했다. 올해 1∼4월 전체 실직자 207만6000명 가운데 5인 미만(1∼4인) 사업장에서 85만5000명, 5∼9인 사업장에서 45만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실직자 수가 많아졌다.
같은 기간 사업을 접은 자영업자는 총 14만6천명이었다. 이 가운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11만400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해, 영세한 자영업자가 고용 한파의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들어 실직자가 유례없는 수준으로 급증한 데에는 코로나19가 '직격탄'으로 작용했지만, 경기 부진으로 고용 사정이 어려운 점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직자 207만6천명을 실직이 발생한 시점별로 나눠보면 코로나19 피해가 본격화하기 이전인 1월과 2월에 43만3000명과 74만9000명에 달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3월에는 72만7000명이었다.
추 의원은 "지금의 고용대란은 코로나 피해뿐 아니라 현 정부의 경제 실패로 인한 고용 악화도 영향을 미쳤다"며 "정부는 경제 상황 악화를 코로나 탓으로 돌리며 선심성·면피성 대책으로 땜질식 처방을 할 게 아니라, 과감한 규제 혁파와 강도 높은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