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쉼터 믿고 맡길 사람 없어 아버지께 부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인이 한 매체 인터뷰를 통해 "피해자 쉼터 매입 비용이 비쌌다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17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마련한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 제기된 의혹에 해명했다.
인터뷰에서 윤 당선인은 관리를 가족(아버지)에게 맡긴 점에 대해서는 여지가 없음을 인정했다. 부친에게 관리를 맡긴 이유로는 "믿고 맡길 사람이 없었다"는 점을 들었다. 윤 당선인은 "활동가들이 직접 관리할 수 없으니 믿고 맡길 사람이 필요했다"며 "뾰족한 수가 없었는데 정대협 운영위원회에서 아버지 이야기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수가) 월 120만원이었는데, 액수를 봐도 알겠지만 사익을 챙기기 위한 목적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윤 당선인의 부친은 힐링센터 관리비로 월 120만원을 받다가 매각을 결정한 2018년 이후부터는 월 50만원씩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은 "예산의 한계로 적절한 곳을 오랫동안 찾지 못하다 구매한 부지"라며 "부동산 차익을 고려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경기 안성시에 조성한 힐링센터(피해자 쉼터)를 시세보다 비싸게 매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의연이 7억5000만원에 매입한 이 쉼터를 최근 3억원 이상 낮은 4억2000만원에 팔기로 했다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윤 당선인은 "벽돌과 벽지 등을 모두 좋은 재료로 튼튼하게 지어 건축비가 많이 들었다는 설명을 들었고, 자재 등을 확인해보니 사실이었다"며 "기존에 우리가 봤던 곳이나 사용 목적을 고려했을 때 비싸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윤 당선인은 "시세에 대한 생각은 다를 수는 있겠다고 본다"면서도 "계속 활용할 것이었기 때문에 매각을 통한 시세차익을 고려하지 않았다. 힐링센터 목적에 적합하고 예산 내에서 집행이 가능하냐가 중요했다"며 쉼터 매입의 목적성을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쉼터 관련 논란에 대해 "되돌아보니 부족한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며 반성의 뜻을 밝혔다. 그는 "더 철저했어야 한다"며 "큰 논란이 된 것에 대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윤 당선인은 17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마련한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 제기된 의혹에 해명했다.
인터뷰에서 윤 당선인은 관리를 가족(아버지)에게 맡긴 점에 대해서는 여지가 없음을 인정했다. 부친에게 관리를 맡긴 이유로는 "믿고 맡길 사람이 없었다"는 점을 들었다. 윤 당선인은 "활동가들이 직접 관리할 수 없으니 믿고 맡길 사람이 필요했다"며 "뾰족한 수가 없었는데 정대협 운영위원회에서 아버지 이야기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수가) 월 120만원이었는데, 액수를 봐도 알겠지만 사익을 챙기기 위한 목적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윤 당선인의 부친은 힐링센터 관리비로 월 120만원을 받다가 매각을 결정한 2018년 이후부터는 월 50만원씩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은 "예산의 한계로 적절한 곳을 오랫동안 찾지 못하다 구매한 부지"라며 "부동산 차익을 고려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경기 안성시에 조성한 힐링센터(피해자 쉼터)를 시세보다 비싸게 매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의연이 7억5000만원에 매입한 이 쉼터를 최근 3억원 이상 낮은 4억2000만원에 팔기로 했다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윤 당선인은 "벽돌과 벽지 등을 모두 좋은 재료로 튼튼하게 지어 건축비가 많이 들었다는 설명을 들었고, 자재 등을 확인해보니 사실이었다"며 "기존에 우리가 봤던 곳이나 사용 목적을 고려했을 때 비싸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윤 당선인은 "시세에 대한 생각은 다를 수는 있겠다고 본다"면서도 "계속 활용할 것이었기 때문에 매각을 통한 시세차익을 고려하지 않았다. 힐링센터 목적에 적합하고 예산 내에서 집행이 가능하냐가 중요했다"며 쉼터 매입의 목적성을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쉼터 관련 논란에 대해 "되돌아보니 부족한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며 반성의 뜻을 밝혔다. 그는 "더 철저했어야 한다"며 "큰 논란이 된 것에 대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