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연 "통합당, 이대론 4년 뒤 총선도 암울…극우와 선 그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극우 정당화 관성 작동, 복원력 상실…해체 후 사상적 토대 엄밀히 세워야 "
"부산 시장 출마, 긍·부정 않고 더 고민…대선 자격 있다고 생각 안해"
"부산 시장 출마, 긍·부정 않고 더 고민…대선 자격 있다고 생각 안해"
김세연 미래통합당 의원은 “통합당이 이대로 가면 2년 뒤 대선은 물론 4년 뒤 총선도 암울하다”고 진단했다. 김 의원은 최근 한경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통합당 극우 세력의 비중이 너무 커져 국민 정서와 괴리가 큰 만큼 이들과 선을 긋지 않으면 당이 ‘영남 자민련’화할 것”이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뒤 통합당 전신인 자유한국당을 향해 “좀비 같은 존재”라며 없어져야 할 정당이라고 주장해 거센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그는 이런 표현을 한 데 대해 “통합당이 복원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공동체 내지 결사체인 정당은 각기 다른 생각을 가진 다양한 주체들이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해야 한다”며 “그런데 어느 시점부터인가 서로 적대시하는 증상이 점점 깊어져 한쪽이 다른 한쪽을 복종시키지 않으면 숙청하는 식이 되면서 공동체 규율이 깨져 버렸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이 다원적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성의 파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때문에 통합당을 해체한 뒤 판을 다시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서로 동료로 인식하지 않는 사람들끼리 억지로 모여 있어선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며 “같은 당 안에 있지만 동질성이 대단히 약화됐기 때문에 완전히 헤쳐 놓은 다음 정당의 원래 의미대로 정치 결사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이 한쪽으로 기운 배경에 대해선 “자유한국당에서 미래통합당으로 대통합하는 과정에서 중도 성향의 새로운보수당 등이 합류하면서 (극우 정당화를) 중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며 “하지만 지난 총선 결과 수도권에 출마한 중도 성향 후보들이 대거 낙선하면서 극우 정당화 관성이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문제, 사전투표 조작설에 대한 판단 문제 등에서 국민 다수의 눈으로 볼 때 쉽게 수긍할 수 없는 시각을 가진 이들과는 선을 그을 수밖에 없다고”고 강조했다. 통합당 해체 이후 지향해야 할 이념과 관련, “그동안 (통합당의) 이념적 좌표는 막연했다”며 “보수 세력을 규합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했던 산업화에 대한 향수, 냉전 반공주의, 천민자본주의에 대한 경향성이 있었던 것이지 정치 사상적으로 이념화됐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이어 “정당을 새로 만든다면 철학적·사상적 토대부터 엄밀히 규정해야 한다”며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변증법적 귀결인 공화주의를 토대로 보수 정당이 서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통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데 힘을 보탰다. 그 이유에 대해 “통합당이 자강(自强)할 수 있으면 너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당 내 훌륭한 분들이 많지만 (당이 극우로 기울어)중도층 유권자들한테 밉상으로 보이지 않고 혐오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인물이 당 대표에 선출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가동 시한과 관련해선 “차기 대선까지 이 체제를 이어간다면 제대로 승부를 걸어볼 가능성이 40~50%까지 올라갈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러지 않고 임기를 8월 말, 연말 또는 내년 4월 재·보궐선거까지로 정해 놓으면 가망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로 “통합당의 자생력이 상실됐기 때문에 기존 당의 관성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지도부가 선출되면 선거 승리의 밑바탕인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진단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차기 대선 도전 여부엔 “그런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고, 내년 부산시장 출마 여부엔 “긍정도 부정도 없이 더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홍영식 한경비즈니스 대기자 yshong@hankyung.com
인터뷰 전문은 한경비즈니스 1277호 ‘주목 이 정치인’ 참조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뒤 통합당 전신인 자유한국당을 향해 “좀비 같은 존재”라며 없어져야 할 정당이라고 주장해 거센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그는 이런 표현을 한 데 대해 “통합당이 복원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공동체 내지 결사체인 정당은 각기 다른 생각을 가진 다양한 주체들이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해야 한다”며 “그런데 어느 시점부터인가 서로 적대시하는 증상이 점점 깊어져 한쪽이 다른 한쪽을 복종시키지 않으면 숙청하는 식이 되면서 공동체 규율이 깨져 버렸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이 다원적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성의 파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때문에 통합당을 해체한 뒤 판을 다시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서로 동료로 인식하지 않는 사람들끼리 억지로 모여 있어선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며 “같은 당 안에 있지만 동질성이 대단히 약화됐기 때문에 완전히 헤쳐 놓은 다음 정당의 원래 의미대로 정치 결사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이 한쪽으로 기운 배경에 대해선 “자유한국당에서 미래통합당으로 대통합하는 과정에서 중도 성향의 새로운보수당 등이 합류하면서 (극우 정당화를) 중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며 “하지만 지난 총선 결과 수도권에 출마한 중도 성향 후보들이 대거 낙선하면서 극우 정당화 관성이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문제, 사전투표 조작설에 대한 판단 문제 등에서 국민 다수의 눈으로 볼 때 쉽게 수긍할 수 없는 시각을 가진 이들과는 선을 그을 수밖에 없다고”고 강조했다. 통합당 해체 이후 지향해야 할 이념과 관련, “그동안 (통합당의) 이념적 좌표는 막연했다”며 “보수 세력을 규합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했던 산업화에 대한 향수, 냉전 반공주의, 천민자본주의에 대한 경향성이 있었던 것이지 정치 사상적으로 이념화됐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이어 “정당을 새로 만든다면 철학적·사상적 토대부터 엄밀히 규정해야 한다”며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변증법적 귀결인 공화주의를 토대로 보수 정당이 서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통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데 힘을 보탰다. 그 이유에 대해 “통합당이 자강(自强)할 수 있으면 너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당 내 훌륭한 분들이 많지만 (당이 극우로 기울어)중도층 유권자들한테 밉상으로 보이지 않고 혐오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인물이 당 대표에 선출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가동 시한과 관련해선 “차기 대선까지 이 체제를 이어간다면 제대로 승부를 걸어볼 가능성이 40~50%까지 올라갈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러지 않고 임기를 8월 말, 연말 또는 내년 4월 재·보궐선거까지로 정해 놓으면 가망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로 “통합당의 자생력이 상실됐기 때문에 기존 당의 관성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지도부가 선출되면 선거 승리의 밑바탕인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진단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차기 대선 도전 여부엔 “그런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고, 내년 부산시장 출마 여부엔 “긍정도 부정도 없이 더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홍영식 한경비즈니스 대기자 yshong@hankyung.com
인터뷰 전문은 한경비즈니스 1277호 ‘주목 이 정치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