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관련 정보 데이터로 저장
면담 통한 코칭·피드백도 기록
사업계획과 인사정보 연결하고
직원 스스로 인사관리하게 해
사람과 데이터의 연결 이뤄져야
인력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미리 대비할 방법이 있다. 인사 정보를 모두 데이터로 저장해 관리하는 방식이다. 우선 직원과 관련해 관리 가능한 모든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해야 한다. 생년월일 등 흔히 ‘인사카드’로 불리는 고정된 인사정보뿐만 아니라 변동성 있는 데이터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입사일 또는 마지막 승진일을 기점으로 한 승진 예상일, 임신·출산·육아에 따른 휴·복직 예상일, 연차 사용일, 초과근무일 등이다.
주기적으로 직원을 면담한 코칭·피드백 내용도 기록해야 한다. 퇴사 예정일, 이사 등에 따른 출퇴근 시간의 변동 등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업데이트해야 하는 데이터까지 모두 연결해야 한다. 방대한 데이터를 모두 기록한 뒤 고정적 인사정보에 변동성 있는 데이터를 연결하면 직원 개인이 가까운 미래에 근무 중일지 아닐지, 또는 어떤 상태일지를 예측할 수 있다. 관리자들은 이들 정보를 인력운영 현황판에서 모니터링하면서 수시로 신규 인사 채용 범위, 근무시간 등 의사결정에 참고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해야 할 일은 사업계획과 인사정보를 연결하는 작업이다. 연간 경영계획 및 분기별·월별 경영목표와 인력 데이터를 연결해야 한다. 가까운 미래의 직원 상태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면 직급별 인원수 및 평균 임금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월 단위 손익 목표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손익을 책임지는 관리자에게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매장에서 신규 인원을 채용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현재 인원이 조금씩 초과근무를 하는 것이 더 유리할지 등을 그 매장 관리자가 시뮬레이션해보고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인사는 더 이상 인사팀만의 권한이 아닌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사람과 데이터의 연결이 이뤄져야 한다. 많은 기업이 인사혁신을 위한 인사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빼놓지 않고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이 ‘자기 인사관리’다. 각 직원이 자신이 입사한 뒤 어떤 조직에서 어떤 업무를 수행했는지, 언제쯤 승진하게 되는지, 승진에 필요한 자격 요소와 교육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다. 직원 관점에서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그려보고 주도적으로 근무에 임할 수 있게 된다. 자기 인사관리 기능은 모바일 환경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앱 또는 모바일 웹페이지 등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직원들이 각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근무 중에도 스스로 인사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로 인력을 관리하면 변동을 미리 예측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식음료 매장 등 직원들의 휴직과 복직이 빈번하고, 신규 매장 출점·기존 매장 폐점 등 변수가 있는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박성용 < 커니파트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