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일각, 기본소득 검토하지만…"당장 전국민 지급 어려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도원의 여의도 백브리핑
![지난 4월20일 경기 수원시 인계동 행정복지센터가 재난기본소득을 신청하려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2005/02.22449420.1.jpg)
그러나 대부분 여야 의원들은 당장 전 국민을 상대로 긴급재난지원금(코로나지원금) 같은 돈을 월급처럼 주는 것에는 신중한 분위기입니다. 재정 문제도 있고, 기존 국민연금 등 제도와 중복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소병훈 의원은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법안 초안에서 특정 액수를 지급한다는 내용은 없다"며 "일종의 선언적인 정도로 대강의 큰 틀을 만들었다. 원론적인 차원에서 접근한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유승희 민주당 의원은 기본소득이 국민의 지지를 얻고 정치적으로 실현되기까지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우선 국가기본소득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기본소득 법안에 앞서 청년기본소득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유 의원은 "코로나19로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축소·연기하면서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어 청년 일자리 대책과 함께 청년기본소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이양수 의원이 기본소득 논의에 적극적입니다. 이 의원은 "용혜인 기본소득당 당선자 등을 만나보고 공부를 더해야한다"며 "설계를 제대로 해서 법안을 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기본소득 도입은 대대적인 손질이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의원은 "국민연금이나 저출산으로 지원하는 예산들, 노령연금 등을 다 뭉쳐서 하나의 기본소득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국민연금은 과거 직업들이 몇개 안될 때 마련이 돼서 기본소득으로 설계를 하려면 현재 직업의 종류나 급여를 반영해서 만들어야 부익부 빈익빈이 줄어든다"고 관측했습니다.
김세연 통합당 의원은 “너무 급격하게 기본소득 도입을 추진하면 수용하기 어렵다”며 “적어도 30년간 이행 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과연 한국에 기본소득이 도입될 수 있을까요? 어떤 형태든 간에 표심만을 노린 포퓰리즘적인 제도가 아닌 진정 국민 복지와 국가 재정, 경제 상황을 고려한 제도로서 검토돼야할 것 같습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