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민재단 "코로나 19, 경제적 불평등 악화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인식' 조사결과…소득 낮고 고용불안 클수록 수입감소 가능성 크게 봐
소득이 낮을수록, 고용 형태가 불안정할수록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적 피해 가능성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중민사회이론연구재단(중민재단)이 최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천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19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14일간의 자가격리 시 수입이 어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묻는 질의에 수입이 낮은 응답자일수록 앞으로 들어올 수입도 줄어들 가능성이 클 것으로 봤다.
'수입 손실이 없을 것'이라는 경우를 1.0, 반대로 '모든 수입을 잃을 것'이라는 경우를 4.0으로 봤을 때 응답자의 평균은 2.41이었다.
2019년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이 1억원 이상인 최상위층은 지수가 1.7이었으나 현재 수입이 없는 응답자는 3.1로 큰 차이를 보였다.
1억원 이하 수입을 1천만원 단위로 세분화했을 때 수입이 낮아질수록 지수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용 형태 별로 보면 정규직은 2.4로 비정규직·임시직(2.7), 자영업자(2.9)보다 향후 수입 손실 가능성을 낮게 봤다.
코로나 19 이후 유급·무급 휴직, 노동시간 단축, 실업 상태 등 고용불안을 경험한 비율을 보면 1억원 이상인 경우 15.6%에 그쳤으나, 수입이 1천만원 이하거나 수입이 아예 없는 경우는 각각 51.6%, 54.3%로 절반을 넘었다.
고용 형태별 고용불안 경험 비율을 보면 정규직은 27.9%이었던 반면 비정규직 40.8%, 자영업자 48.2%, 임시직 56.1%로 격차가 컸다.
신규호 중민재단 연구원은 이날 낸 분석보고서에서 "자가격리에 따른 수입 저하, 일자리의 불안정화 등이 저소득층에게서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코로나 19는 경제적 불평등을 더욱 악화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19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별 실천 비율을 보면 '얼굴 마스크 착용'이 93.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집에서 자주 식사하기'(88.0%), '자주 손 씻기'(87.9%), '사회적 친교모임 회피'(72.5%) 순이었다.
반면 '식품을 더 사서 집에서 버티기'(48.6%), '식료품점 덜 자주 가기'(52.8%), '일 않고 집에 머무르기'(53.6%)는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보수와 진보, 공화당과 민주당 지지자 등 정치적 태도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여부를 비교해 본바 한국은 정치적 태도와 상관없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이와 달리 미국에서는 민주당 지지자가 공화당 지지자에 비해 실천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아 정치적 태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고 신 연구원은 전했다.
/연합뉴스
27일 중민사회이론연구재단(중민재단)이 최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천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19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14일간의 자가격리 시 수입이 어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묻는 질의에 수입이 낮은 응답자일수록 앞으로 들어올 수입도 줄어들 가능성이 클 것으로 봤다.
'수입 손실이 없을 것'이라는 경우를 1.0, 반대로 '모든 수입을 잃을 것'이라는 경우를 4.0으로 봤을 때 응답자의 평균은 2.41이었다.
2019년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이 1억원 이상인 최상위층은 지수가 1.7이었으나 현재 수입이 없는 응답자는 3.1로 큰 차이를 보였다.
1억원 이하 수입을 1천만원 단위로 세분화했을 때 수입이 낮아질수록 지수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용 형태 별로 보면 정규직은 2.4로 비정규직·임시직(2.7), 자영업자(2.9)보다 향후 수입 손실 가능성을 낮게 봤다.
코로나 19 이후 유급·무급 휴직, 노동시간 단축, 실업 상태 등 고용불안을 경험한 비율을 보면 1억원 이상인 경우 15.6%에 그쳤으나, 수입이 1천만원 이하거나 수입이 아예 없는 경우는 각각 51.6%, 54.3%로 절반을 넘었다.
고용 형태별 고용불안 경험 비율을 보면 정규직은 27.9%이었던 반면 비정규직 40.8%, 자영업자 48.2%, 임시직 56.1%로 격차가 컸다.
신규호 중민재단 연구원은 이날 낸 분석보고서에서 "자가격리에 따른 수입 저하, 일자리의 불안정화 등이 저소득층에게서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코로나 19는 경제적 불평등을 더욱 악화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19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별 실천 비율을 보면 '얼굴 마스크 착용'이 93.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집에서 자주 식사하기'(88.0%), '자주 손 씻기'(87.9%), '사회적 친교모임 회피'(72.5%) 순이었다.
반면 '식품을 더 사서 집에서 버티기'(48.6%), '식료품점 덜 자주 가기'(52.8%), '일 않고 집에 머무르기'(53.6%)는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보수와 진보, 공화당과 민주당 지지자 등 정치적 태도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여부를 비교해 본바 한국은 정치적 태도와 상관없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이와 달리 미국에서는 민주당 지지자가 공화당 지지자에 비해 실천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아 정치적 태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고 신 연구원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