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다음달 대대적인 할인 행사 '대한민국 동행 세일'을 열기로 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꺼진 소비에 불을 붙이기 위해서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환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라 소비가 아닌 감염병 확산세에만 불이 붙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매년 하반기 여는 '코리아세일페스타'도 할인율이 낮아 소비자의 외면을 받고 있는데, 이와 비슷한 행사를 하나 더 만들어봤자 소비 활성화 효과가 없을 것이란 지적도 제기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제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6월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코리아세일페스타에 버금가는 대대적 특별 할인 행사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통업체와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고 소비가 활성화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변태섭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실장도 "대·중소업체 동시 할인, 현장 행사 등을 통해 전국적인 '소비 붐'을 일으키겠다"며 "전통시장 633곳을 비롯해 총 2000곳 업체가 참여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행사 성공을 뒷받침하게 위해 △백화점·대형마트 할인행사 비용 분담 의무 규제 완화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사업 확대 등 제도 개선도 추진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 감염만 심해질라

동행 세일은 소비 진작이라는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이 더 클지 모른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온다. 우선 타이밍이 문제다. 한동안 소강 상태였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심해지고 있어서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이달초만 해도 한자릿수로 떨어져 '조기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하지만 이태원 클럽발(發) 대규모 감염 사태가 터지면서 8일 이후 신규 환자가 다시 두자릿수로 올라섰다. 지난 27일과 28일엔 각각 40명, 73명까지 급증했다. 한동안 이런 확산세가 이어질텐데 불과 한달 뒤 대규모 할인 행사를 여는 게 맞냐는 지적이 나온다. 사람들 간 접촉이 늘면서 코로나 감염이 더 심해질지 모른다는 것이다. 지난해 11월 2일 코세페 기간 파격 할인 행사를 벌였던 신세계백화점은 당일에만 600만명의 소비자가 몰렸다.

대안은 있다. 동행 세일을 중국의 광군제나 미국의 블락프라이데이처럼 온라인 중심 행사로 방향을 확 트는 것이다. 하지만 이날 발표된 '대한민국 동행세일 추진계획'을 보면 그런 식의 방향 전환 계획은 없었다. 온라인 활성화를 위해 할인쿠폰 발급, 공영홈쇼핑 수수료 인하 등을 지원하겠다는 방안은 담겼지만 이를 위한 예산 지원은 20억여원에 그쳤다. 이 정도 수준 지원으로는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 행사 틀을 바꾸기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쥐꼬리 할인율로는 소비 진작 못시켜

실효성에도 물음표가 따른다. 정부는 동행 세일을 코세페에 버금가는 행사로 만들겠다고 하지만 코세페 자체가 매년 흥행에 실패하고 있다. 작년 코세페의 하루 평균 매출액은 약 5600억에 그쳤다. 광군제(44조6000억원)나 블랙프라이데이(8조7000억원)와 비교하면 매우 초라하다.

행사 기간 할인율이 10~30%에 그쳐 소비자 참여가 저조한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광군제와 블랙프라이데이는 할인율이 80~90%에 이른다. 이를 위해선 한국 특유의 복잡한 유통 구조를 개선하거나 정부 차원의 파격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동행 세일에서도 근본적인 개선책은 안 보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준비할 시간이라도 충분하면 할인 행사 맞춤으로 소비자의 구미를 당길 만한 제품을 내놓을텐데 한 달 전에 급조하는 행사가 제대로 흥행할 수 있겠냐"고 꼬집었다.

◇고효율 가전제품 할인 확대한다지만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사업을 확대하기로 한 건 바람직한 방향이란 평가가 나온다.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이 높은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10개 품목을 사면 구매 비용의 10%를 30만원 한도로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사업이다. 정부는 이 사업의 예산을 1500억원에서 45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수요가 늘고 있는 의류건조기도 환급 품목에 추가했다.

하지만 이 역시도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가전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사업을 3월말부터 시작한 뒤 한달 간 환급 실적이 약 200억원에 그쳤다"며 "예산이 아니라 혜택 자체를 더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환급 혜택을 주는 품목을 가전제품 전반으로 확대하고, 환급 비율(10%)이나 한도(30만원)을 늘리지 않으면 사업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