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급락에 5월 소비자물가 0.3%↓…8개월만에 마이너스 물가(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치원비 지원 등 공공서비스 물가 하락, 사회적 거리두기도 영향
정부 "공급측 요인에 의한 일시적 저물가…디플레이션 아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진 영향이 가장 컸다.
유치원비 지원 등으로 공공서비스 물가가 내린 것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식 물가 등의 상승폭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줬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1(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3% 하락했다.
작년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0.4% 하락해 사상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8개월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집계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에 12개월 연속 1%를 밑돌다 올해 1∼3월에는 1%대로 올라섰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이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4월에 다시 0%대 초반으로 떨어졌고 5월에는 마이너스로 내려갔다.
상품 물가 중 농·축·수산물 가격이 3.1% 상승했다.
배추 작황 부진으로 채소가격이 오르고 코로나19 여파로 '집밥 소비'가 늘어 돼지고기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긴급 재난지원금 효과도 일부 있었다.
농산물은 0.5% 하락했으나 이중 채소류는 9.8% 상승했다.
특히 배추가 102.1% 뛰어올랐다.
축산물은 7.2% 올랐다.
이중 돼지고기는 12.2% 상승해 2015년 2월(12.9%) 이후 가장 많이 올랐고 국산 소고기는 6.6% 상승해 2016년 12월(6.9%) 이후 상승률이 제일 높았다.
달걀도 9.1% 올랐다.
수산물은 7.7% 상승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한 달에) 세번 조사를 하는데 조사하는 사이 축산물 가격이 계속 올랐다"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밥 소비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으나 일부는 긴급재난지원금 영향도 있지 않나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긴급재난지원금은 전국적으로 5월 중순부터 쓰이기 시작했기에 그 효과는 6월 통계에 반영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반면 공업제품은 2.0% 하락했다.
특히 석유류 가격이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8.7% 급락하며 전체 물가를 0.82%포인트 끌어내렸다.
휘발유가 17.2%, 경유가 23.0%, 자동차용 LPG가 14.4% 하락했다.
전기·수도·가스는 1.3% 올랐다.
서비스 물가는 0.1% 상승해 1999년 12월(0.1%) 이후 최저 상승률을 보였다.
공공서비스 물가가 1.9%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낮췄다.
대구 고등학교 등록금 감면, 유치원비 지원, 지방자치단체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이 영향을 미쳤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0.9% 올랐다.
외식 물가는 0.6% 상승하는 데 그쳐 예년보다 상승률이 크게 둔화했다.
코로나19로 여행 관련 서비스 물가가 낮아지며 외식 외 물가도 1.2% 상승에 머물렀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교육이 2.8% 내렸다.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통계가 발표되기 시작한 1986년 1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교통은 2015년 10월(-6.9%) 이후 최저치인 -6.9%를 기록했다.
오락 및 문화(-1.6%), 통신(0.7%)도 하락했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2.4%), 보건(1.6%), 음식 및 숙박(0.8%), 의류 및 신발(0.8%) 등은 상승률이 플러스(+)였다.
기획재정부는 "휘발유 등 석유류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였다"며 "무상교육·무상급식 확대 기조 아래 지자체의 지방 공공요금 감면 등이 가미돼 소비자물가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5% 상승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반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7% 하락했다.
이는 해당 지수에서 고교 납입금, 석유류 등의 반영 비중이 높은 영향을 받았다.
8개월 만의 마이너스 물가에 디플레이션 우려 나오자 통계청은 '일시적 저물가 현상'이라며 선을 그었다.
안 심의관은 "이번 물가 하락은 수요측 요인이라기보다 공급측 요인이고 마이너스 물가 기간이 한 달밖에 되지 않았으므로 디플레이션으로 판단하기는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로 경제 전체의 불확실성이 매우 커서 향후 물가 예측이 어렵다"며 "유가 반등, 긴급재난지원금 집행, 글로벌 밸류체인(GVC) 문제로 인한 공급 애로 등 물가 상승 요인과 그 외 물가 하락 요인이 혼재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마스크 가격은 안정세를 이어갔다.
KF94 마스크의 경우 오프라인 가격은 1천600원대 후반, 공적 마스크 공급처인 약국 평균가격은 1천500원 초반대, 온라인은 2천700원대 초반으로 지난달보다 하향 안정세였다.
통계청은 최근 가격이 크게 오른 덴탈 마스크 가격을 조사할지 여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정부 "공급측 요인에 의한 일시적 저물가…디플레이션 아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진 영향이 가장 컸다.
유치원비 지원 등으로 공공서비스 물가가 내린 것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식 물가 등의 상승폭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줬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1(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3% 하락했다.
작년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0.4% 하락해 사상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8개월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집계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에 12개월 연속 1%를 밑돌다 올해 1∼3월에는 1%대로 올라섰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이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4월에 다시 0%대 초반으로 떨어졌고 5월에는 마이너스로 내려갔다.
상품 물가 중 농·축·수산물 가격이 3.1% 상승했다.
배추 작황 부진으로 채소가격이 오르고 코로나19 여파로 '집밥 소비'가 늘어 돼지고기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긴급 재난지원금 효과도 일부 있었다.
농산물은 0.5% 하락했으나 이중 채소류는 9.8% 상승했다.
특히 배추가 102.1% 뛰어올랐다.
축산물은 7.2% 올랐다.
이중 돼지고기는 12.2% 상승해 2015년 2월(12.9%) 이후 가장 많이 올랐고 국산 소고기는 6.6% 상승해 2016년 12월(6.9%) 이후 상승률이 제일 높았다.
달걀도 9.1% 올랐다.
수산물은 7.7% 상승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한 달에) 세번 조사를 하는데 조사하는 사이 축산물 가격이 계속 올랐다"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밥 소비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으나 일부는 긴급재난지원금 영향도 있지 않나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긴급재난지원금은 전국적으로 5월 중순부터 쓰이기 시작했기에 그 효과는 6월 통계에 반영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반면 공업제품은 2.0% 하락했다.
특히 석유류 가격이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18.7% 급락하며 전체 물가를 0.82%포인트 끌어내렸다.
휘발유가 17.2%, 경유가 23.0%, 자동차용 LPG가 14.4% 하락했다.
전기·수도·가스는 1.3% 올랐다.
서비스 물가는 0.1% 상승해 1999년 12월(0.1%) 이후 최저 상승률을 보였다.
공공서비스 물가가 1.9%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낮췄다.
대구 고등학교 등록금 감면, 유치원비 지원, 지방자치단체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이 영향을 미쳤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0.9% 올랐다.
외식 물가는 0.6% 상승하는 데 그쳐 예년보다 상승률이 크게 둔화했다.
코로나19로 여행 관련 서비스 물가가 낮아지며 외식 외 물가도 1.2% 상승에 머물렀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교육이 2.8% 내렸다.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통계가 발표되기 시작한 1986년 1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교통은 2015년 10월(-6.9%) 이후 최저치인 -6.9%를 기록했다.
오락 및 문화(-1.6%), 통신(0.7%)도 하락했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2.4%), 보건(1.6%), 음식 및 숙박(0.8%), 의류 및 신발(0.8%) 등은 상승률이 플러스(+)였다.
기획재정부는 "휘발유 등 석유류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였다"며 "무상교육·무상급식 확대 기조 아래 지자체의 지방 공공요금 감면 등이 가미돼 소비자물가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5% 상승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반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7% 하락했다.
이는 해당 지수에서 고교 납입금, 석유류 등의 반영 비중이 높은 영향을 받았다.
8개월 만의 마이너스 물가에 디플레이션 우려 나오자 통계청은 '일시적 저물가 현상'이라며 선을 그었다.
안 심의관은 "이번 물가 하락은 수요측 요인이라기보다 공급측 요인이고 마이너스 물가 기간이 한 달밖에 되지 않았으므로 디플레이션으로 판단하기는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로 경제 전체의 불확실성이 매우 커서 향후 물가 예측이 어렵다"며 "유가 반등, 긴급재난지원금 집행, 글로벌 밸류체인(GVC) 문제로 인한 공급 애로 등 물가 상승 요인과 그 외 물가 하락 요인이 혼재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마스크 가격은 안정세를 이어갔다.
KF94 마스크의 경우 오프라인 가격은 1천600원대 후반, 공적 마스크 공급처인 약국 평균가격은 1천500원 초반대, 온라인은 2천700원대 초반으로 지난달보다 하향 안정세였다.
통계청은 최근 가격이 크게 오른 덴탈 마스크 가격을 조사할지 여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