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공로 금산갤러리에서 오는 10일 개막하는 ‘지홍 박봉수 회고전’에 전시되는 박봉수의 1987년작 ‘서경’.  금산갤러리 제공
서울 소공로 금산갤러리에서 오는 10일 개막하는 ‘지홍 박봉수 회고전’에 전시되는 박봉수의 1987년작 ‘서경’. 금산갤러리 제공
“누군가 회화의 명인이 있다고 해 가보니 불상이 걸린 벽과 밑그림이 쌓인 방안에서 마치 반가사유상같이 비쩍 마른 사람이 그 반가사유상처럼 앉아 있었다.”

시인 구상(1919~2004)은 1951년 경북 경주에서 지인의 소개로 지홍(智弘) 박봉수 화백(1916~1991)을 처음 만났을 때를 이렇게 회고했다. 1992년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박 화백 1주기 유작전에 부친 글에서였다. 구 시인은 “불교미술에는 화선불이(畵禪不二)라는 말이 있는데 그림과 수도 참선하는 것이 다르지 않다는 말”이라며 “한국 전체 현대 예술가 중에서 가장 화선불이의 삶을 살고 화선일미(畵禪一味)의 경지를 이룬 이가 바로 지홍 박봉수”라고 평가했다.

박봉수의 회고전 ‘구도의 흔적’이 오는 10일부터 서울 소공로 금산갤러리에서 열린다. 반가사유상을 비롯한 불상그림 10여 점을 포함해 구상과 추상 회화 등 34점이 걸린다.

신라의 고장 경주에서 태어난 지홍은 향토적 정서와 전통을 이어받았고 불교사상을 공부했지만 거기에 갇히지는 않았다. 10대부터 세계와 호흡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실험했다. 14세에 일본 수묵과 유화를 배웠고, 스물이 되기 전에 중국 베이징미술학원에서 그림을 공부했다. 20대 초반에는 금강산 유점사, 신계사 등에 머물며 불교사상을 접하고 불화를 그렸으며, 경주 근화여중 미술교사로 일한 1950년대에는 교감이던 문필가 김익진 선생(1906~1970)의 영향으로 가톨릭 신자가 됐다.

지홍은 수묵과 수채, 유화 등 다양한 기법을 모두 소화하고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작업하고 실험했다. 각각의 대상에 따라 그에 맞는 장르와 기법, 재료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푸른 이끼가 낀 듯, 하늘에서 푸른 빛이 쏟아지는 듯 신비로운 느낌의 ‘청태반가사유상’은 마지에 유채로 그린 작품이다.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추상화 ‘금장천과의 대화’는 국내는 물론 미국·유럽 등지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그가 선구적으로 선보인 수묵추상과 문자추상은 서구 추상미술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불교의 선(禪)을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추상실험이어서 더욱 주목받았다. 불상그림을 많이 그렸던 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한 뒤 수묵으로 그린 ‘명상 기독(그리스도)’은 1963년 유럽에서 큰 화제가 됐다.

지홍은 금강산, 경주, 서울 등 어디서나 수행자의 면모를 잃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평생을 화단의 국외자처럼 살았고, 어느 하나에 머무르지 않는 화풍은 자신의 권위를 높이는 데 방해가 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언제나 붓을 놓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한 실험정신의 소유자였다.

이런 지홍의 작품을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한 사람의 예술가로서 신앙고백이며 자기표현”이라고 평했다. 불상그림과 기독교 그림, 구상과 추상을 막론하고 지홍의 작품에서 구도의 자세, 관조적인 분위기가 강하게 배어나오는 이유다. 전시는 오는 27일까지.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