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 라임 분쟁조정…"무역펀드 1600억 전액 배상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운용사와 판매사를 상대로 한 라임 사태의 현장 조사를 끝내고 법률 검토 작업을 하고 있다. 라임 사태 전반적인 사안을 다룬 1차 법률 검토에 이어 현재 분쟁조정위에 올릴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 2차 법률 자문이 진행 중이다.
분쟁조정을 하려면 펀드의 손실이 확정돼야 한다. 라임 사태에서 손실 확정까지 시간이 걸리는 다른 모(母)펀드와 달리 무역금융펀드는 전액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금감원은 보고 있다.
라임의 무역금융펀드는 2017년 5월부터 신한금융투자의 총수익스와프(TRS) 대출 자금을 활용해 '인터내셔널 인베스트먼트그룹'(IIG) 펀드 2개, BAF펀드, Barak펀드, ATF펀드 등 5개 해외 무역금융펀드에 투자했다. 이 중 2개의 IIG 펀드에서 문제가 생겼다.
5개 해외 무역금융펀드의 투자 손실이 2억달러 이상이면 무역금융펀드는 전액 손실이 나는데 이미 그 단계까지 왔다는 것이 금감원의 판단이다.
금감원은 투자원금을 최대 100%까지 돌려주는 조정안을 분쟁조정위에 올리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무역금융펀드 2400억원 가운데 2018년 11월 말 이후 판매된 규모는 1900억원 정도다. 이 가운데 원금 100%를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중도 환매분을 뺀 1600억원가량이다. 2018년 11월 이전에 판매된 500억원은 불완전판매로 분쟁조정을 진행한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