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라? 전세계 직원이 회의실에 있네" 미국 시장 뚫은 AR협업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라? 전세계 직원이 회의실에 있네" 미국 시장 뚫은 AR협업툴](https://img.hankyung.com/photo/202006/01.22860782.1.png)
스페이셜은 이런 3차원(3D) 원격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두고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을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언택트(비대면) 서비스가 부각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VR·AR로 3D 모델 공유
스페이셜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반으로 원격 협업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진하 최고제품책임자(CPO)와 아난드 아가라왈라 최고경영책임자(CEO)가 2016년 공동 창업했다.
!["어라? 전세계 직원이 회의실에 있네" 미국 시장 뚫은 AR협업툴](https://img.hankyung.com/photo/202006/01.22860780.1.jpg)
회의가 시작되면 기기의 센서가 사용자의 눈과 손 동작을 파악해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단순히 사용자들의 움직임만 전달하는 게 아니다. 문서, 비디오, 3D 모델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공유하고 공간에 띄울 수 있다. 손을 움직여 문서를 열고 닫거나 3D 모델의 크기를 줄이고 키울 수도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3D 협업툴 개발이 본격 상용화됐다. 루미, 이머스VR, 글루 등 VR 플랫폼이 대표적이다. 스페이셜은 빠르게 실제같은 아바타를 만들어내는 데다 마이크로소프트(MS) 홀로렌즈, 오큘러스 퀘스트, 매직리프 등 VR과 AR 기기 모두에서 작동되는 것을 차별점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스페이셜은 작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래스(MWC)에서 MS의 홀로렌즈2의 활용사례로 주목받기도 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대표가 홀로렌즈를 소개하는 자리에 이 CPO와 아가라왈라 CEO가 홀로그램으로 등장하면서다. 이 CPO가 스페이셜을 창업한 것도 이전 버전의 홀로렌즈를 접하고서다. 이 CPO는 “홀로렌즈를 접하고 상용화가 가까워왔다는 생각에 창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AR글래스가 만드는 미래 일터
스페이셜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협업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활용 시간과 기업들의 협업 문의도 크게 늘었다. 이 CPO는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기업들의 문의가 10배 이상 증가했고, 총 사용시간도 비슷하게 늘었다”고 했다.
기존에 협업한 기업들은 마텔, 네슬레, 포드 등 대기업이었다.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직원들이 3D 정보를 공유할 때 사용했다. 올해 들어서는 중소기업과 대학, 병원, 실리콘밸리 기업 등 관심을 보이는 곳도 확대되고 있다. 애리조나 대학의 인문학 수업에 스페이셜이 활용되기도 했다. 이 CPO는 “미래의 일터는 모니터 대신 AR 글래스와 키보드만 있으면 어디서든 일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년 내 VR·AR 협업도구 없이 일하는 건 이상한 일이 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어라? 전세계 직원이 회의실에 있네" 미국 시장 뚫은 AR협업툴](https://img.hankyung.com/photo/202006/01.22862564.1.jpg)
스페이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크다. 스페이셜이 미국 화이트스타, 아이노비아와 국내 카카오벤처스, 삼성 넥스트 등으로부터 유치한 누적 투자금액은 2200만 달러(약 270억원). 매킨토시의 아버지라 불리는 앤디 허츠펠트, 우버 공동창업자인 개럿 캠프, 징가 창업자인 마크 핀커스, 인스타그램 창업자 마이크 크리거 등 실리콘밸리 창업자들도 개인 투자를 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