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변호인단 "이재용 부회장 사건, 전문가 검증 받게 해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일 수사심의위 개최 여부 결정
"국민 참여 기소심사 취지 살려야"
"국민 참여 기소심사 취지 살려야"

10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이 부회장 사건을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수사심의위)에 넘길지를 결정할 부의심의위원회(부의심의위)를 11일 연다. 부의심의위는 일반 시민 15명으로 구성된다. 대검 수사심의위가 법조계·학계·언론계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반면 부의심의위는 회사원, 자영업자 등 그야말로 일반 시민들로 구성된다. 법조인은 부의심의위에 참여할 수 없다.
삼성 측은 수사심의위 도입 취지를 강조하며 수사심의위 개최 필요성을 설득할 것으로 알려졌다. 변호인단은 이날 의견서에서 “공소 유지가 불가능한 사건을 면피성으로 기소하는 것을 막자는 게 제도의 취지”라며 “당사자가 심의를 신청했음에도 구속영장까지 청구하고 심의조차 회피한다면 도대체 왜 이런 제도를 만든 것이냐”고 반문했다. 변호인단은 “검찰이 혐의 입증에 자신이 있다면 수사심의위 심의를 왜 피하려 하는가”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변호인단은 검찰이 문제 삼고 있는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시한 민사 재판 결과도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9일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것과 관련해서는 “법원이 범죄사실에 대한 소명 부족을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소는 사실상 ‘유죄의 낙인’이라는 호소 전략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의 의도대로 검증 없이 이 부회장이 기소된다면 그 자체로 대외신인도가 추락하고 국제 투기자본의 투자자·국가 간 소송(ISD) 등 무차별 공격이 이어질 수 있다는 논리다.
이인혁/안효주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