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히 나타나는 코로나19 영향…은행 5월 연체율 일제히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소법인 연체율 증가폭 두드러져
하반기 코로나19 영향 본격화
하반기 코로나19 영향 본격화
주요 시중은행들의 5월 연체율이 전달보다 일제히 올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타격이 서서히 반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5월말 대출 연체율은 4월 말에 비해 0.02%포인트씩 상승했다. 4월 말 기준 0.21∼0.33%였던 연체율은 한 달 후 0.23∼0.35%로 집계됐다. 3월에 일시적으로 하락한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은행들은 3, 6, 9, 12월에 정기적으로 부실 채권을 매각하기 때문에 연체율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제외하면 큰 틀에서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이다.
부문별 가계대출 연체율은 0.16∼0.32%에서 0.17∼0.33%로 각각 0∼0.02%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의 연체율은 0.22∼0.38%에서 0.24∼0.41%로, 0.02∼0.05%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큰 차이는 없지만 중소법인(개인사업자 제외 중소기업) 연체율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시중 1·2위 은행의 5월 중소법인 연체율을 보면 A은행은 4월 0.39%에서 0.43%로, B은행은 0.67%에서 0.72%로 각각 0.04%포인트, 0.05%포인트 올랐다.
대기업은 자산 매각, 회사채 발행 등으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쉽지만, 중소기업은 이 같은 자금 조달이 어려워 위기에 취약하다. 은행권에서는 정부의 코로나19 자금지원 대책이 대기업과 소상공인에 집중돼 중소기업이 소외된 측면이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5월 연체율 상승에 코로나19 영향이 일부 반영되긴 했지만, 아직은 본격화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하반기에는 연체율 증가가 확연히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연체율은 경기 후행지표인 만큼 코로나19 영향을 재단하기는 이르다. 코로나19 여파로 실물경제가 위축되고, 실업과 자영업자 폐업이 증가하면 여신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 주도의 대출 만기연장·상환 유예 지원이 끝나면 가려져 있던 부실이 드러날 수도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5월말 대출 연체율은 4월 말에 비해 0.02%포인트씩 상승했다. 4월 말 기준 0.21∼0.33%였던 연체율은 한 달 후 0.23∼0.35%로 집계됐다. 3월에 일시적으로 하락한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은행들은 3, 6, 9, 12월에 정기적으로 부실 채권을 매각하기 때문에 연체율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제외하면 큰 틀에서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이다.
부문별 가계대출 연체율은 0.16∼0.32%에서 0.17∼0.33%로 각각 0∼0.02%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의 연체율은 0.22∼0.38%에서 0.24∼0.41%로, 0.02∼0.05%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큰 차이는 없지만 중소법인(개인사업자 제외 중소기업) 연체율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시중 1·2위 은행의 5월 중소법인 연체율을 보면 A은행은 4월 0.39%에서 0.43%로, B은행은 0.67%에서 0.72%로 각각 0.04%포인트, 0.05%포인트 올랐다.
대기업은 자산 매각, 회사채 발행 등으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쉽지만, 중소기업은 이 같은 자금 조달이 어려워 위기에 취약하다. 은행권에서는 정부의 코로나19 자금지원 대책이 대기업과 소상공인에 집중돼 중소기업이 소외된 측면이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5월 연체율 상승에 코로나19 영향이 일부 반영되긴 했지만, 아직은 본격화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하반기에는 연체율 증가가 확연히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연체율은 경기 후행지표인 만큼 코로나19 영향을 재단하기는 이르다. 코로나19 여파로 실물경제가 위축되고, 실업과 자영업자 폐업이 증가하면 여신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 주도의 대출 만기연장·상환 유예 지원이 끝나면 가려져 있던 부실이 드러날 수도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