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흘 중 이틀만 일치…확진 판정 유보, 업무 과부하 등 때문
코로나 발생 넉달 넘도록 들어맞지 않는 질본-서울시 통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1월 20일 이후 4개월 넘게 지났는데도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확진자 통계가 들어맞지 않는 상황은 여전하다.

소규모 집단감염이 예상치 못한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터지는 까닭에 재난 대응의 출발점인 '현황 파악'부터가 제각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11일 서울시와 질병관리본부의 이달 1∼10일 확진자 누계 통계를 비교하면 두 기관의 집계가 일치한 날은 이틀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매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전날 0시 이후 34시간 사이 상황 변화를 담은 통계를 집계해 발표한다.

질본은 0시 기준으로 지역별 확진자 수를 집계한다.

그렇다면 서울시의 10시 기준 집계에서 확진 날짜가 발표 날짜와 같은 환자의 수를 뺐을 때 질본 0시 기준 집계와 일치해야 한다.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일례로 지난 7일 서울시의 오전 10시 기준 누계는 979명, 질본의 7일 0시 기준 서울 확진자 누계는 974명이었다.

이 경우 상식적으로 '서울시가 7일 0∼10시 파악한 신규 확진자는 5명일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고 또 그래야 하지만, 서울시 자료에서 확진 날짜가 7일인 환자는 없었다.

서울시 집계로는 7일 0시에도 오전 10시에도 979명이라는 것이고, 질본은 0시에 974명이었다는 것이다.

그 전날인 6일도 마찬가지다.

서울시 오전 10시 집계가 952명, 질본 0시 집계가 947명인데 서울시 자료에서 확진 날짜가 6일인 환자는 0명이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8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직접 주재했다가 이런 차이에 대한 질문을 받고 "질본과 서로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답했다.

박 시장은 "지난주는 (당일 확진자를 자료에) 반영했고, 필요하다면 그때마다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다"고도 했다.

질본과 시차를 두고 발표하면서 수치를 계속 최신화한다는 설명인데, 실제로는 당일 확진자를 반영하지 못하니 서로 보완하는 것이 없는 셈이고 같은 0시 기준으로 보더라도 두 기관 집계 차이만 나타나는 상황이다.
코로나 발생 넉달 넘도록 들어맞지 않는 질본-서울시 통계
차이가 생기는 이유로는 확진 판정을 내리기 모호한 경우가 많다는 코로나19의 특성, 집단감염 발생으로 확진자가 급증할 때의 업무 과부하 등이 꼽힌다.

예를 들어 지난 10일 서울시 집계에 들어간 '서울 1018번'과 '서울 1029번' 환자에게는 질본의 전국 단위 관리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

이 경우 질본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환자에 대한 최종 확진 권한은 질본과 보건환경연구원에 있다.

따라서 서울시 자료에서 2명을 빼는 것이 맞을 수도 있지만, 시는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최종 판정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어느 검사에서건 양성이 나왔다면 확진자로 공개하고 있다.

이태원 클럽 사태 이후 수도권에서 국지적으로 빈발하는 소규모 집단감염 사태도 기관 간 통계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다수 확진자가 한 번에 발생하면 최종 확진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확진자의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검사받은 지역이 일치하지 않는 사례가 많은 것도 한 원인이다.

가령 경기도민이 서울 직장으로 출근했다가 몸에 이상을 느껴 근처 보건소에서 검사받고 확진되면 해당 보건소가 경기도로 통보한다.

이때 보건소와 경기도가 나란히 질본에 환자 발생을 보고해 중복됐다가 추후 수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최대한 맞추려고 하지만,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상황도 있다"며 "가능한 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