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처·아파트·자동차 미끼로 광주전남서 사기범죄 잇따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변인 등쳐 거액 가로챘다' 수십억∼백억원대 피해 호소
투자처와 아파트, 자동차 등을 미끼로 주변인을 등치는 사기 범죄가 최근 광주와 전남에서 잇따르고 있다.
용의자로 지목된 이들은 거액을 가로챈 뒤 잠적했는데 각각 피해 금액이 많게는 수백억에서 적게는 십억원대로 추정된다.
최근 광주에서는 50대 여성 사채업자가 지역 재력가를 상대로 거액의 사기 행각을 벌이고 사라져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13일 광주 서부경찰서에 따르면 평소 알고 지내던 50대 여성 A씨에게 사기를 당했다는 3건의 고소 사건이 잇따라 접수돼 수사가 진행 중이다.
사채업으로 돈을 번 A씨는 아파트 건설 사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투자자를 모아 대규모 투자를 하는 투자·알선업자로 성장했다고 알려졌다.
광주 광산구 한 아파트 건설 과정에서 절반 가까운 자금을 여러 경로를 통해 조달하는 등 경제계에선 '큰 손'으로 불렸다.
특히 대학에서 열리는 최고 경영자 과정 등을 수강하며 지역 경제인은 물론 교수, 의사 등 유력가들과 인맥을 쌓아왔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유력 건설사주 일가는 부지 매입비 명목으로 A씨에게 40억원을 건넸다가 고소장을 냈다.
또 다른 피해자는 "A씨가 2시간만 빌려달라고 해서 8억원을 수표로 빌려줬는데 돈을 갚지 않고 잠적했다"는 내용으로 경찰에 고소했다.
이 외에도 고소장을 내지 않은 건설사주와 국립대 교수 등이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피해를 봤다고 거론된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피해 금액이 최소 140억원, 많게는 300억원에 이른다는 설이 떠돈다.
경찰은 우선 고소장이 접수된 사건을 중심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가족과 함께 잠적한 A씨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추적에 나섰다.
광주 동구에서는 지산동지역주택조합 업무대행사로부터 다중계약 피해를 봤다는 59명이 담당 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비조합원인 이들은 알음알음 알게 된 업무대행사에 속아 저렴한 분양 또는 조합원 자격 취득을 보장해준다는 약속을 받고 계약서에 명시된 신탁회사가 아닌 개인 계좌로 돈을 부쳤다.
아파트 한 채당 최대 4명까지 중복계약이 체결된 사실은 대출 서류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고소인들은 조합 설립 전 추진위원회가 만든 계좌가 사기행각에 사용된 정황 등을 근거로 조합을 업무대행사와 함께 경찰에 고소했다.
고소장에 기재된 피해 금액은 합산 40억원 상당이다.
파문이 확산하면서 이들 중복계약 피해자와 관련 없는 조합원 사이에서도 업무대행사 측에 돈을 떼였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이들은 신탁회사가 아닌 업무대행사 관계자 개인 계좌로 돈을 송금해 분담금 미납자로 분류됐다.
수사 전담팀을 꾸린 경찰은 업무대행사와 조합 사무실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며 사건 경위와 피해 규모를 파악 중이다.
연락을 끊고 잠적한 업무대행사 관계자의 소재도 확인하고 있다.
전남에서는 공기업 직원이 여러 동료를 상대로 억대의 사기행각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돼 회사가 감사에 착수했다.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소속 직원인 B씨는 공장에서 막 출고한 자동차를 30% 저렴한 금액에 살 수 있다고 속여 동료 20여 명으로부터 10억원 상당을 가로챘다고 알려졌다.
B씨는 문제가 불거지자 무단결근 중이다.
내부 고발이 잇따르자 감사실은 조사를 시작했고, 경찰도 피해 신고가 정식으로 들어오면 수사에 착수한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용의자로 지목된 이들은 거액을 가로챈 뒤 잠적했는데 각각 피해 금액이 많게는 수백억에서 적게는 십억원대로 추정된다.
최근 광주에서는 50대 여성 사채업자가 지역 재력가를 상대로 거액의 사기 행각을 벌이고 사라져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13일 광주 서부경찰서에 따르면 평소 알고 지내던 50대 여성 A씨에게 사기를 당했다는 3건의 고소 사건이 잇따라 접수돼 수사가 진행 중이다.
사채업으로 돈을 번 A씨는 아파트 건설 사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투자자를 모아 대규모 투자를 하는 투자·알선업자로 성장했다고 알려졌다.
광주 광산구 한 아파트 건설 과정에서 절반 가까운 자금을 여러 경로를 통해 조달하는 등 경제계에선 '큰 손'으로 불렸다.
특히 대학에서 열리는 최고 경영자 과정 등을 수강하며 지역 경제인은 물론 교수, 의사 등 유력가들과 인맥을 쌓아왔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유력 건설사주 일가는 부지 매입비 명목으로 A씨에게 40억원을 건넸다가 고소장을 냈다.
또 다른 피해자는 "A씨가 2시간만 빌려달라고 해서 8억원을 수표로 빌려줬는데 돈을 갚지 않고 잠적했다"는 내용으로 경찰에 고소했다.
이 외에도 고소장을 내지 않은 건설사주와 국립대 교수 등이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피해를 봤다고 거론된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피해 금액이 최소 140억원, 많게는 300억원에 이른다는 설이 떠돈다.
경찰은 우선 고소장이 접수된 사건을 중심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가족과 함께 잠적한 A씨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추적에 나섰다.
광주 동구에서는 지산동지역주택조합 업무대행사로부터 다중계약 피해를 봤다는 59명이 담당 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비조합원인 이들은 알음알음 알게 된 업무대행사에 속아 저렴한 분양 또는 조합원 자격 취득을 보장해준다는 약속을 받고 계약서에 명시된 신탁회사가 아닌 개인 계좌로 돈을 부쳤다.
아파트 한 채당 최대 4명까지 중복계약이 체결된 사실은 대출 서류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고소인들은 조합 설립 전 추진위원회가 만든 계좌가 사기행각에 사용된 정황 등을 근거로 조합을 업무대행사와 함께 경찰에 고소했다.
고소장에 기재된 피해 금액은 합산 40억원 상당이다.
파문이 확산하면서 이들 중복계약 피해자와 관련 없는 조합원 사이에서도 업무대행사 측에 돈을 떼였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이들은 신탁회사가 아닌 업무대행사 관계자 개인 계좌로 돈을 송금해 분담금 미납자로 분류됐다.
수사 전담팀을 꾸린 경찰은 업무대행사와 조합 사무실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며 사건 경위와 피해 규모를 파악 중이다.
연락을 끊고 잠적한 업무대행사 관계자의 소재도 확인하고 있다.
전남에서는 공기업 직원이 여러 동료를 상대로 억대의 사기행각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돼 회사가 감사에 착수했다.
한국농어촌공사 본사 소속 직원인 B씨는 공장에서 막 출고한 자동차를 30% 저렴한 금액에 살 수 있다고 속여 동료 20여 명으로부터 10억원 상당을 가로챘다고 알려졌다.
B씨는 문제가 불거지자 무단결근 중이다.
내부 고발이 잇따르자 감사실은 조사를 시작했고, 경찰도 피해 신고가 정식으로 들어오면 수사에 착수한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