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쏠림 얼마나 심하길래…'보편 증세론'까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득세는 상위 10%가 86%
법인세는 상위 1%가 74% 납부
법인세는 상위 1%가 74% 납부

◆상위 10%가 소득세 86% 부담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8년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은 국내 면세자 비율은 38.9%였다. 미국(30.7%)과 호주(15.8%) 캐나다(17.8%) 등은 한국보다 낮다.
이에 비해 한국의 고소득자에 대한 세수 의존도는 높다. 근로소득과 종합소득 등을 합한 통합소득 기준으로 상위 10%가 전체 소득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한국이 78.5%(2017년 기준)로 미국(70.6%)과 영국(59.8%), 캐나다(53.8%)보다 많다.
법인세도 마찬가지다. 2018년 매출 5000억원을 초과하는 733개 대기업(전체 기업의 0.2%)이 낸 법인세가 전체 법인세의 59.9%를 차지했다. 전체 기업의 0.9%인 연 매출 1000억원 초과 기업으로 집계하면 74.2%로 상승한다. 반면 전체 기업의 91.1%를 차지하는 매출 100억원 이하 기업이 내는 세금은 10.5%다.
◆전체 세금부담률은 OECD 평균 이하
고소득자와 대기업이 내는 세금 비중은 많아졌지만 국가 전체적으로 보면 여전히 세금 부담률은 낮다. 2018년 한국의 조세수입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로 OECD 평균인 25%보다 5%포인트 낮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사회보장성 보험을 합한 국민부담률도 26.8%로 OECD 평균(34.3%)과 격차가 크다.
이 때문에 정부가 기본소득 도입과 전 국민 고용보험 가입 같은 정책을 추진해 ‘중부담 중복지’국가로 가려면 보편 증세를 택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자 증세만으로는 코로나19 대응과 복지확대에 필요한 재정 소요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부가세 인상 등을 통해 안정적인 세수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