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밀어올린 韓 국가경쟁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5단계 오른 23위 기록
IMD "코로나 대처 성공적"
'방역 미흡' 美·日은 순위 하락
IMD "코로나 대처 성공적"
'방역 미흡' 美·日은 순위 하락
한국의 올해 국가경쟁력 순위가 작년보다 다섯 계단 오르면서 23위를 기록했다. 200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순위 상승이다.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이 다른 나라에 비해 성공적인 점이 순위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은 63개국을 대상으로 경제 성과,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 등 네 가지 분야를 평가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한국은 작년 28위에서 23위로 다섯 단계 순위가 올랐다. 한국은 2011~2013년 22위였다가 2016년부터 20위권 후반대를 맴돌았다. 하지만 올해는 네 분야 중 정부효율성(31→28위) 기업효율성(34→28위) 인프라 (20→16위) 등 세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전체 순위가 높아졌다.
특히 기업효율성 부문 중 노동시장(36→28위) 경영관행(47→36위) 행태·가치(25→15위) 등에서 큰 폭으로 순위가 뛰었다. 노동시장 부문 순위 상승에는 직업훈련 강화와 경제활동인구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경제 성과는 전년과 같은 순위(27위)에 머물렀다.
IMD는 한국의 낮은 장기실업률과 간소한 창업 절차, 기업의 신속한 디지털 전환 등을 대표적인 강점으로 꼽았다. 반면 기업의 해외 이전에 대한 불안감과 높은 관세장벽, 기업 이사회의 비효과적인 관리·감독, 환경 관련 다자협약 체결 부족 등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싱가포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차지했다. 덴마크는 8위에서 2위로 상승했고, 스위스는 한 단계 오른 3위로 평가됐다. 반면 미국(3→10위)과 중국(14→20위), 일본(30→34위) 등은 순위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미국과 중국의 국가경쟁력 순위 하락에는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국제무역 악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한국이 코로나19 확산에 적극적으로 대처한 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코로나 방역을 상대적으로 잘했다는 평가를 받은 대만도 16위에서 11위로 다섯 단계 올라섰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은 63개국을 대상으로 경제 성과,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 등 네 가지 분야를 평가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한국은 작년 28위에서 23위로 다섯 단계 순위가 올랐다. 한국은 2011~2013년 22위였다가 2016년부터 20위권 후반대를 맴돌았다. 하지만 올해는 네 분야 중 정부효율성(31→28위) 기업효율성(34→28위) 인프라 (20→16위) 등 세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전체 순위가 높아졌다.
특히 기업효율성 부문 중 노동시장(36→28위) 경영관행(47→36위) 행태·가치(25→15위) 등에서 큰 폭으로 순위가 뛰었다. 노동시장 부문 순위 상승에는 직업훈련 강화와 경제활동인구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경제 성과는 전년과 같은 순위(27위)에 머물렀다.
IMD는 한국의 낮은 장기실업률과 간소한 창업 절차, 기업의 신속한 디지털 전환 등을 대표적인 강점으로 꼽았다. 반면 기업의 해외 이전에 대한 불안감과 높은 관세장벽, 기업 이사회의 비효과적인 관리·감독, 환경 관련 다자협약 체결 부족 등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싱가포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차지했다. 덴마크는 8위에서 2위로 상승했고, 스위스는 한 단계 오른 3위로 평가됐다. 반면 미국(3→10위)과 중국(14→20위), 일본(30→34위) 등은 순위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미국과 중국의 국가경쟁력 순위 하락에는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국제무역 악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한국이 코로나19 확산에 적극적으로 대처한 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코로나 방역을 상대적으로 잘했다는 평가를 받은 대만도 16위에서 11위로 다섯 단계 올라섰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