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AI·전기차에 1700조 쏟아붓는 中…"한국기업들에 기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트 코로나, 중국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 개최
전경련 "시진핑 방한 이뤄지면 한중관계 더 발전"
전경련 "시진핑 방한 이뤄지면 한중관계 더 발전"
중국이 올해 5G(5세대 통신)·인공지능(AI)·전기차 등 신형인프라에 약 1조7000억 위안(한화 289조원)을 투자한다. 향후 5년간 이들 분야에 10조 위안(약 1700조원)을 쏟아부을 것으로 전망돼 한국 기업들이 기회를 살려 중국 시장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7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포스트 코로나, 중국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하고 이같이 말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각국 정부가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실시하는 가운데 중국도 5년간 48조6000억 위안(한화 약 8300조원)을 투입하는 '양신일중(兩新一重)'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한국 기업들에 커다란 기회가 될 수 있는 만큼 관심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특히 올해 중국의 '신형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규모를 약 1조7000위안, 향후 5년간 직접투자는 10조 위안으로 추정했다. 신형 인프라는 2018년 말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제시된 용어로 5G AI 전기차 데이터센터(IDC) 궤도열차 충전설비 특고압설비 산업인터넷 등을 포함한다.
토론 진행을 맡은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는 신형 인프라 투자는 비대면 경제에 적합한 조치로 경기부양은 물론 전반적 산업능력 제고와 4차 산업혁명 선도까지 염두에 둔 방안이라고 풀이했다.
이 전 총영사는 "일대일로 정책도 대부분 중국 업체가 독점하다시피하고 미래도시 건설 계획인 슝안지구 건설 프로젝트 역시 한국 기업들이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중국에서 큰 인프라 장터가 열리는 만큼 우리 기업들이 적극 개척해나가고 정부도 관심을 갖고 지원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승렬 한국외대 교수는 중국 지방정부의 경제적 자율권이 확대될 것이므로 한국 중견기업의 참여 공간 및 각종 외자 우대조치 활용 기회가 증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 교수는 "지방인구 밀접지역 인프라 개선을 통한 현대화 정책은 복합적 도시공간 발전과 관련된 IT 및 기반시설 확충 설비, 중간재, 설계 및 관리 노하우, 서비스 산업 영역에서 발전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한국 기업은 향후 중국 도시화 전략의 향배를 면밀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중국이 대대적 투자에 나설 거란 전망은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를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싱 대사는 지난 10일 대한상공회의소 초청 웹세미나에서 '중국 양회 이후 한중관계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중국이 코로나19로 꺼진 경제 활력을 되살리기 위해 향후 5년간 48조6000억 위안을 쏟아붓는 경기부양책, 이른바 '중국판 뉴딜'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투자 방식·주체, 시장개방성 등이 이전과 다른 경제 계획"이라며 "한국 기업에 커다란 기회가 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하기도 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7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포스트 코로나, 중국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하고 이같이 말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각국 정부가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실시하는 가운데 중국도 5년간 48조6000억 위안(한화 약 8300조원)을 투입하는 '양신일중(兩新一重)'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한국 기업들에 커다란 기회가 될 수 있는 만큼 관심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특히 올해 중국의 '신형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규모를 약 1조7000위안, 향후 5년간 직접투자는 10조 위안으로 추정했다. 신형 인프라는 2018년 말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제시된 용어로 5G AI 전기차 데이터센터(IDC) 궤도열차 충전설비 특고압설비 산업인터넷 등을 포함한다.
토론 진행을 맡은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는 신형 인프라 투자는 비대면 경제에 적합한 조치로 경기부양은 물론 전반적 산업능력 제고와 4차 산업혁명 선도까지 염두에 둔 방안이라고 풀이했다.
이 전 총영사는 "일대일로 정책도 대부분 중국 업체가 독점하다시피하고 미래도시 건설 계획인 슝안지구 건설 프로젝트 역시 한국 기업들이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중국에서 큰 인프라 장터가 열리는 만큼 우리 기업들이 적극 개척해나가고 정부도 관심을 갖고 지원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승렬 한국외대 교수는 중국 지방정부의 경제적 자율권이 확대될 것이므로 한국 중견기업의 참여 공간 및 각종 외자 우대조치 활용 기회가 증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 교수는 "지방인구 밀접지역 인프라 개선을 통한 현대화 정책은 복합적 도시공간 발전과 관련된 IT 및 기반시설 확충 설비, 중간재, 설계 및 관리 노하우, 서비스 산업 영역에서 발전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한국 기업은 향후 중국 도시화 전략의 향배를 면밀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중국이 대대적 투자에 나설 거란 전망은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를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싱 대사는 지난 10일 대한상공회의소 초청 웹세미나에서 '중국 양회 이후 한중관계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중국이 코로나19로 꺼진 경제 활력을 되살리기 위해 향후 5년간 48조6000억 위안을 쏟아붓는 경기부양책, 이른바 '중국판 뉴딜'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투자 방식·주체, 시장개방성 등이 이전과 다른 경제 계획"이라며 "한국 기업에 커다란 기회가 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하기도 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