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썼더니 평소에 안 나던 입냄새…편도염 의심해봐야 [이지현의 생생헬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양한 입냄새 원인
구강 위생 상태 불량하거나
입·목 근처 질환이 80~90%
폐질환 앓고 있을 때도 냄새
구강 위생 상태 불량하거나
입·목 근처 질환이 80~90%
폐질환 앓고 있을 때도 냄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마스크 착용 시간이 길어지면서 예전에는 몰랐던 입냄새 때문에 놀라는 사람이 많다. 마스크로 입과 코를 가리면서 평소에도 있었던 입냄새가 더 심하게 느껴지는 것인데, 이런 입냄새는 특정한 질병의 신호일 가능성이 있다. 치아나 잇몸 질환은 물론 위나 간 등 소화기 질환이 있을 때도 소화기의 가장 끝 쪽 통로인 입으로 냄새가 올라올 수 있기 때문이다. 입냄새의 원인과 입냄새를 줄이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봤다.
구강 위생 불량이 가장 큰 원인
입냄새가 나는 원인은 다양하다. 치과 질환 때문에 생기기도 하고 당뇨병, 편도결석, 간 질환, 신장병, 역류성식도염, 위염, 과민성장증후군 등도 입냄새의 원인이 된다.
가장 큰 원인은 구강 위생 상태가 불량하거나 잇몸 질환이 있기 때문이다. 백태가 있거나 틀니 등을 잘 관리하지 않았을 때, 음식물 찌꺼기가 입속에 남았을 때, 인두염 편도염 등에 감염 증상이 있을 때, 구강암이 있을 때도 입냄새가 생긴다. 이처럼 입과 목 근처에 문제가 있어 생기는 입냄새가 전체의 80~90% 정도를 차지한다.
나머지 10% 정도는 기관지 확장증이 있거나 폐농양과 같이 폐 질환을 앓고 있을 때다. 간에 문제가 있거나 만성 질환이 있을 때, 당뇨병 합병증을 앓고 있을 때도 입냄새가 날 수 있다.
만약 치과 질환도 없고 장기에도 문제가 없는데 입냄새가 계속 난다면 다른 원인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입속 세균 때문에 편도염이나 편도결석이 생겨도 입냄새가 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31.8%에 입냄새가 있다. 편도결석은 입냄새가 생기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다. 편도결석이 있는 사람은 편도결석이 없는 사람보다 입냄새 관련 물질 농도가 10.3배나 높다는 분석 결과도 있다.
민현진 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평소 자각하지 못하다가 마스크를 오래 쓰면서 심한 입냄새 때문에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었다”며 “구취의 원인은 다양하다”고 했다. 그는 “충치가 없고 별다른 이유가 없는데도 입에서 냄새가 나거나 가래를 뱉을 때 악취가 나고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에 세균이 뭉쳐 노랗고 좁쌀만한 덩어리가 생긴다면 편도염과 편도결석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마스크 계속 쓰는 환경에 입냄새 악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오랜 시간 마스크를 착용하는 환경은 입냄새를 더욱 심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오랜 시간 마스크를 쓰면 코로 호흡하는 것이 불편해져 입으로 숨을 쉰다. 마스크를 썼다 벗었다 하는 동안 안쪽을 손으로 만진 뒤 재사용하면 자칫 입속 세균이 많아질 위험이 크다. 편도염 편도결석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편도염은 입안 목 주위와 코 뒷부분에 있는 림프기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구개편도, 설편도, 인두편도(아데노이드) 등의 편도선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생긴 상태다. 편도염이 계속 생기면 편도에 있는 작은 구멍이 커진다. 이렇게 커진 구멍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끼면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세균이 뭉쳐 작은 알갱이가 만들어지면 편도결석이 돼 입냄새가 심해진다.
편도염이 생기면 초기에는 목이 건조해지고 열이 난다. 입쪽에 통증을 호소하고 음식을 삼키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손발 통증이나 요통처럼 전신 증상도 호소한다. 편도가 부어 커지는 것도 흔한 증상이다. 급성편도염이 생기면 침을 삼키는 것도 어려울 정도로 목에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열나고 춥고 떨리는 증상을 호소하고 두통을 느낀다. 뼈 마디마디가 쑤시는 것처럼 아프다고 하거나 귀에 통증이 심한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도 많다.
후비루 있어도 편도염 잘 생겨
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비염, 부비동염 때문에 콧물이 목 뒤로 자꾸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이 있는 사람은 편도에 세균이 증식해 편도염이 반복적으로 생길 위험이 크다. 만성편도염이다. 목에 뭐가 걸린 것 같은 이물감을 호소하면서 양치질을 할 때면 입에서 쌀알 같은 노란 알갱이가 나온다. 결석이 떨어져 나온 것이다. 목 안이 간질간질하거나 귀가 아픈 증상이 생겨도 편도결석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이런 편도염을 치료하려면 염증을 없애야 한다. 초기 급성편도염이라면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한 약물치료를 한다. 열나고 목이 아픈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해열 진통제 등을 복용해야 한다. 세균에 감염된 상태라면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렇게 약을 먹으면서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푹 쉬면 치료할 수 있다. 양치질을 꼼꼼히 하는 등 입속 위생 관리에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하다.
편도결석은 결석이 저절로 빠져나와 사라지는 환자도 많다. 이를 빨아들이는 치료를 해 제거하기도 한다. 급성 편도염은 약물로 간단히 치료되지만 매년 여러 번씩 반복적으로 편도염을 앓는 재발성 편도염은 상태에 따라 수술치료가 필요하다. 만성 인후통이나 숨을 쉴 때마다 악취가 심할 때, 편도에 찌꺼기가 지나치게 많을 땐 만성편도염으로 진단한다. 편도선을 절제하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편도가 지나치게 커져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낫지 않을 때도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편도염과 함께 폐 질환, 호흡장애, 연하장애, 발성장애가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편도염 때문에 치아 부정교합이 생기거나 안면골 발달에 문제가 생기는 환자도 수술해야 한다. 민 교수는 “자주 반복되는 편도선염이나 편도결석은 여러 심한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며 “입냄새가 없어지지 않거나 수년간 매년 3회 이상 편도선염이 반복된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마스크 착용 때 수시로 물 마셔야
편도염과 같은 질환이 생기는 것을 막고 입냄새를 줄이기 위해 마스크를 잘 착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마스크 착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입속 세균도 잘 증식한다. 편도염과 편도결석이 생길 위험이 크기 때문에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입속에 사는 세균은 입안이 건조해지면 잘 번식하기 때문이다.
양치질이나 가글을 수시로 하면서 입속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마스크를 손으로 만지는 횟수는 최대한 줄여야 한다.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것도 입속 세균이 잘 번식하는 원인 중 하나다.
통풍이 잘 되는 덴탈마스크는 숨 쉬는 것이 편해 비교적 오랜 시간 착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을 막고 입속 건강을 지키기 위해 사람과의 만남이 적은 야외나 실내에서 오랜 시간 착용해야 하는 사무실 근로자 등이 쓰는 것이 좋다. 면 마스크는 물에 젖으면 잘 마르지 않아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여름철 땀 등으로 젖은 상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bluesky@hankyung.com
입냄새가 나는 원인은 다양하다. 치과 질환 때문에 생기기도 하고 당뇨병, 편도결석, 간 질환, 신장병, 역류성식도염, 위염, 과민성장증후군 등도 입냄새의 원인이 된다.
가장 큰 원인은 구강 위생 상태가 불량하거나 잇몸 질환이 있기 때문이다. 백태가 있거나 틀니 등을 잘 관리하지 않았을 때, 음식물 찌꺼기가 입속에 남았을 때, 인두염 편도염 등에 감염 증상이 있을 때, 구강암이 있을 때도 입냄새가 생긴다. 이처럼 입과 목 근처에 문제가 있어 생기는 입냄새가 전체의 80~90% 정도를 차지한다.
나머지 10% 정도는 기관지 확장증이 있거나 폐농양과 같이 폐 질환을 앓고 있을 때다. 간에 문제가 있거나 만성 질환이 있을 때, 당뇨병 합병증을 앓고 있을 때도 입냄새가 날 수 있다.
만약 치과 질환도 없고 장기에도 문제가 없는데 입냄새가 계속 난다면 다른 원인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입속 세균 때문에 편도염이나 편도결석이 생겨도 입냄새가 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31.8%에 입냄새가 있다. 편도결석은 입냄새가 생기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다. 편도결석이 있는 사람은 편도결석이 없는 사람보다 입냄새 관련 물질 농도가 10.3배나 높다는 분석 결과도 있다.
민현진 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평소 자각하지 못하다가 마스크를 오래 쓰면서 심한 입냄새 때문에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었다”며 “구취의 원인은 다양하다”고 했다. 그는 “충치가 없고 별다른 이유가 없는데도 입에서 냄새가 나거나 가래를 뱉을 때 악취가 나고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에 세균이 뭉쳐 노랗고 좁쌀만한 덩어리가 생긴다면 편도염과 편도결석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마스크 계속 쓰는 환경에 입냄새 악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오랜 시간 마스크를 착용하는 환경은 입냄새를 더욱 심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오랜 시간 마스크를 쓰면 코로 호흡하는 것이 불편해져 입으로 숨을 쉰다. 마스크를 썼다 벗었다 하는 동안 안쪽을 손으로 만진 뒤 재사용하면 자칫 입속 세균이 많아질 위험이 크다. 편도염 편도결석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편도염은 입안 목 주위와 코 뒷부분에 있는 림프기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구개편도, 설편도, 인두편도(아데노이드) 등의 편도선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생긴 상태다. 편도염이 계속 생기면 편도에 있는 작은 구멍이 커진다. 이렇게 커진 구멍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끼면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세균이 뭉쳐 작은 알갱이가 만들어지면 편도결석이 돼 입냄새가 심해진다.
편도염이 생기면 초기에는 목이 건조해지고 열이 난다. 입쪽에 통증을 호소하고 음식을 삼키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손발 통증이나 요통처럼 전신 증상도 호소한다. 편도가 부어 커지는 것도 흔한 증상이다. 급성편도염이 생기면 침을 삼키는 것도 어려울 정도로 목에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열나고 춥고 떨리는 증상을 호소하고 두통을 느낀다. 뼈 마디마디가 쑤시는 것처럼 아프다고 하거나 귀에 통증이 심한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도 많다.
후비루 있어도 편도염 잘 생겨
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비염, 부비동염 때문에 콧물이 목 뒤로 자꾸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이 있는 사람은 편도에 세균이 증식해 편도염이 반복적으로 생길 위험이 크다. 만성편도염이다. 목에 뭐가 걸린 것 같은 이물감을 호소하면서 양치질을 할 때면 입에서 쌀알 같은 노란 알갱이가 나온다. 결석이 떨어져 나온 것이다. 목 안이 간질간질하거나 귀가 아픈 증상이 생겨도 편도결석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이런 편도염을 치료하려면 염증을 없애야 한다. 초기 급성편도염이라면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한 약물치료를 한다. 열나고 목이 아픈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해열 진통제 등을 복용해야 한다. 세균에 감염된 상태라면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렇게 약을 먹으면서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푹 쉬면 치료할 수 있다. 양치질을 꼼꼼히 하는 등 입속 위생 관리에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하다.
편도결석은 결석이 저절로 빠져나와 사라지는 환자도 많다. 이를 빨아들이는 치료를 해 제거하기도 한다. 급성 편도염은 약물로 간단히 치료되지만 매년 여러 번씩 반복적으로 편도염을 앓는 재발성 편도염은 상태에 따라 수술치료가 필요하다. 만성 인후통이나 숨을 쉴 때마다 악취가 심할 때, 편도에 찌꺼기가 지나치게 많을 땐 만성편도염으로 진단한다. 편도선을 절제하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편도가 지나치게 커져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낫지 않을 때도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편도염과 함께 폐 질환, 호흡장애, 연하장애, 발성장애가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편도염 때문에 치아 부정교합이 생기거나 안면골 발달에 문제가 생기는 환자도 수술해야 한다. 민 교수는 “자주 반복되는 편도선염이나 편도결석은 여러 심한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며 “입냄새가 없어지지 않거나 수년간 매년 3회 이상 편도선염이 반복된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마스크 착용 때 수시로 물 마셔야
편도염과 같은 질환이 생기는 것을 막고 입냄새를 줄이기 위해 마스크를 잘 착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마스크 착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입속 세균도 잘 증식한다. 편도염과 편도결석이 생길 위험이 크기 때문에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입속에 사는 세균은 입안이 건조해지면 잘 번식하기 때문이다.
양치질이나 가글을 수시로 하면서 입속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마스크를 손으로 만지는 횟수는 최대한 줄여야 한다.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것도 입속 세균이 잘 번식하는 원인 중 하나다.
통풍이 잘 되는 덴탈마스크는 숨 쉬는 것이 편해 비교적 오랜 시간 착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을 막고 입속 건강을 지키기 위해 사람과의 만남이 적은 야외나 실내에서 오랜 시간 착용해야 하는 사무실 근로자 등이 쓰는 것이 좋다. 면 마스크는 물에 젖으면 잘 마르지 않아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여름철 땀 등으로 젖은 상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