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리 진격하는 삼성…TSMC 꺾을 '팹리스 군단' 키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버 없이도 반도체 설계 가능
'클라우드 플랫폼' 제공
삼성이 투자…활용은 누구나
기술만큼 '생태계 장악' 중요
'클라우드 플랫폼' 제공
삼성이 투자…활용은 누구나
기술만큼 '생태계 장악' 중요
삼성전자가 중소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에 시스템 반도체를 손쉽게 설계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제공하기로 했다. 삼성에 우호적인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반도체 설계 후공정 업체)를 늘리는 게 목적이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시장 1위를 노리고 있는 삼성전자가 생태계 확장에 팔을 걷어붙였다는 해석이 나온다.
팹리스 챙기기 나선 삼성전자
삼성전자와 플랫폼 업체인 리스케일은 18일 통합 클라우드 설계 플랫폼 ‘SAFE-CDP’를 선보였다. 팹리스 업체들이 언제 어디서나 칩 설계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했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
시스템 반도체 생산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반도체 칩 설계도 까다로워졌다. 설계 작업의 후반부로 갈수록 복잡한 계산이 많아진다. 이런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지려면 필요한 만큼의 저장공간과 소프트웨어 서버를 패키지로 빌리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뒷받침돼야 한다. 칩의 성능을 검증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양이 상당하고 컴퓨팅 자원도 많이 소모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클라우드 비용 부담을 고민하는 팹리스가 많다는 걸 감안해 플랫폼을 개발하게 됐다”며 “SAFE-CDP가 팹리스업계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벌써부터 팹리스업계에선 SAFE-CDP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본격 서비스에 앞선 테스트에서 성과가 확인됐다. 차량용 반도체 칩 설계에 삼성의 플랫폼을 활용했던 가온칩스는 기존 플랫폼을 쓸 때보다 설계에 걸리는 기간을 약 30% 단축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월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강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 지원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정은승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은 “팹리스 업체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개발부터 양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돕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와 별도로 팹리스 업체의 제품 개발을 돕기 위해 시제품을 제작해주는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프로그램을 공정당 연 3~4회 운영 중이다. 작년 하반기부터는 국내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 개발자들에게 레이아웃, 설계 방법론, 검증 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기업 간 경쟁’에서 ‘생태계 간 경쟁’으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2위 업체다. 2분기 기준 점유율이 18.8%(트렌드포스 기준)다. 하지만 1위인 대만 TSMC(51.5%)와의 격차가 상당하다. 공정 미세화 등 기술적인 부분에선 TSMC와 별 차이가 없다.
문제는 파운드리 전후 공정과 연계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특히 비슷한 분야의 업체들을 연결해주거나 팹리스와 협력하면 좋을 디자인하우스를 소개해주는 네트워킹이 아쉽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TSMC와의 격차를 줄이려면 더 많은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를 삼성 생태계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태계의 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는 것은 파운드리 업체들만이 아니다. 글로벌 팹리스들도 업계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중소 팹리스들을 지원하고 있다. 자사의 설계자산(IP)을 활용하는 업체가 많아져야 IP 사용료 수익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경쟁력 있는 고객사 수=미래 수익’이란 공식이 파운드리와 팹리스에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두뇌인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칩 설계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ARM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 회사는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의 12호 ‘자상한 기업(자발적 상생협력기업)’으로 선정됐다. ARM은 설계 패키지인 ‘플렉서블 액세스’를 향후 3년간 국내 스타트업 10곳에 지원하기로 했다. 이 패키지를 활용하면 ARM이 보유한 IP의 75%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팹리스 챙기기 나선 삼성전자
삼성전자와 플랫폼 업체인 리스케일은 18일 통합 클라우드 설계 플랫폼 ‘SAFE-CDP’를 선보였다. 팹리스 업체들이 언제 어디서나 칩 설계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했다는 게 삼성 측 설명이다.
시스템 반도체 생산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반도체 칩 설계도 까다로워졌다. 설계 작업의 후반부로 갈수록 복잡한 계산이 많아진다. 이런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지려면 필요한 만큼의 저장공간과 소프트웨어 서버를 패키지로 빌리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뒷받침돼야 한다. 칩의 성능을 검증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양이 상당하고 컴퓨팅 자원도 많이 소모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클라우드 비용 부담을 고민하는 팹리스가 많다는 걸 감안해 플랫폼을 개발하게 됐다”며 “SAFE-CDP가 팹리스업계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벌써부터 팹리스업계에선 SAFE-CDP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본격 서비스에 앞선 테스트에서 성과가 확인됐다. 차량용 반도체 칩 설계에 삼성의 플랫폼을 활용했던 가온칩스는 기존 플랫폼을 쓸 때보다 설계에 걸리는 기간을 약 30% 단축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월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강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 지원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정은승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은 “팹리스 업체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개발부터 양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돕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와 별도로 팹리스 업체의 제품 개발을 돕기 위해 시제품을 제작해주는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프로그램을 공정당 연 3~4회 운영 중이다. 작년 하반기부터는 국내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 개발자들에게 레이아웃, 설계 방법론, 검증 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기업 간 경쟁’에서 ‘생태계 간 경쟁’으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2위 업체다. 2분기 기준 점유율이 18.8%(트렌드포스 기준)다. 하지만 1위인 대만 TSMC(51.5%)와의 격차가 상당하다. 공정 미세화 등 기술적인 부분에선 TSMC와 별 차이가 없다.
문제는 파운드리 전후 공정과 연계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특히 비슷한 분야의 업체들을 연결해주거나 팹리스와 협력하면 좋을 디자인하우스를 소개해주는 네트워킹이 아쉽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TSMC와의 격차를 줄이려면 더 많은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를 삼성 생태계 안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태계의 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는 것은 파운드리 업체들만이 아니다. 글로벌 팹리스들도 업계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중소 팹리스들을 지원하고 있다. 자사의 설계자산(IP)을 활용하는 업체가 많아져야 IP 사용료 수익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경쟁력 있는 고객사 수=미래 수익’이란 공식이 파운드리와 팹리스에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두뇌인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칩 설계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ARM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 회사는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의 12호 ‘자상한 기업(자발적 상생협력기업)’으로 선정됐다. ARM은 설계 패키지인 ‘플렉서블 액세스’를 향후 3년간 국내 스타트업 10곳에 지원하기로 했다. 이 패키지를 활용하면 ARM이 보유한 IP의 75%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