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이 도대체 뭐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인당 매달 30만원 줘도 매년 187조 필요한데
기본소득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기본소득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기본소득 도입을 둘러싼 논쟁이 확산하고 있다. 작년 말만 해도 대부분 국민에게 생소한 단어였던 기본소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코로나지원금)과 함께 정치권의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이재명 경기지사부터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까지 여야와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기본소득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기본소득은 한마디로 모든 국민에게 매달 일정액을 지급하는 제도다. 크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기본소득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보편성이다. 소득의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모든 계층에 지급돼야 한다는 원칙이다. 국가에 따라 지급 대상을 성인에 한정하는 등 나이 제한을 둘 수는 있지만 국민 1인당 일정액을 일률적으로 줘야 한다.
두 번째는 정기성이다. 대부분은 정해진 기준에 따라 매월 지급된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19 위기를 맞아 국내에서 일회성으로 지급된 재난지원금은 일부 지자체에서 ‘재난기본소득’ 등으로 불렸지만 기본소득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세 번째는 기본소득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충족성이다. ‘소득’이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그 돈으로 최저생계 정도의 삶은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본소득을 찬성하는 쪽에서도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를 놓고는 의견이 엇갈린다. 기존 복지제도를 대폭 없애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기존 복지제도는 유지한 채 기본소득을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문제는 돈이다. 전 국민에게 충분한 돈을 지급하기 위해선 상당한 재원이 소요된다. 한국인 1인당 매월 30만원을 기본소득으로 지급할 경우 한 해 필요한 예산은 187조원에 달한다. 올해 우리나라 예산인 513조원(추경 제외)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막대한 규모다. 세계 1위 전자 하드웨어기업인 삼성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 22조원에 비해서도 8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6월 초 이뤄진 한 여론조사에서도 기본소득에 대한 찬성과 반대는 팽팽했다. 찬성 48.6%에 반대 42.8%였다. 우리의 삶과 경제구조를 영구적으로 바꿔놓을 수 있는 기본소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노경목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autonomy@hankyung.com
기본소득은 한마디로 모든 국민에게 매달 일정액을 지급하는 제도다. 크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기본소득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보편성이다. 소득의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모든 계층에 지급돼야 한다는 원칙이다. 국가에 따라 지급 대상을 성인에 한정하는 등 나이 제한을 둘 수는 있지만 국민 1인당 일정액을 일률적으로 줘야 한다.
두 번째는 정기성이다. 대부분은 정해진 기준에 따라 매월 지급된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19 위기를 맞아 국내에서 일회성으로 지급된 재난지원금은 일부 지자체에서 ‘재난기본소득’ 등으로 불렸지만 기본소득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세 번째는 기본소득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충족성이다. ‘소득’이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그 돈으로 최저생계 정도의 삶은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본소득을 찬성하는 쪽에서도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를 놓고는 의견이 엇갈린다. 기존 복지제도를 대폭 없애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기존 복지제도는 유지한 채 기본소득을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문제는 돈이다. 전 국민에게 충분한 돈을 지급하기 위해선 상당한 재원이 소요된다. 한국인 1인당 매월 30만원을 기본소득으로 지급할 경우 한 해 필요한 예산은 187조원에 달한다. 올해 우리나라 예산인 513조원(추경 제외)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막대한 규모다. 세계 1위 전자 하드웨어기업인 삼성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 22조원에 비해서도 8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6월 초 이뤄진 한 여론조사에서도 기본소득에 대한 찬성과 반대는 팽팽했다. 찬성 48.6%에 반대 42.8%였다. 우리의 삶과 경제구조를 영구적으로 바꿔놓을 수 있는 기본소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노경목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