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70주년…산업계 최대 업적은 삼성 반도체 진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한국전쟁 70년,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 대국민 인식' 설문조사
IMF 위기 극복·국민건강보험 실시는 경제·사회계 최대 성과
한국전쟁 이후 70년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우리나라의 업적으로 경제·산업 분야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극복과 삼성의 반도체 진출이, 사회 분야에서는 국민건강보험제도 실시가 각각 꼽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한국전쟁 70년,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 대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전경련은 경제·산업·사회 분야로 나눠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를 조사했다.
경제 부문에서는 응답자의 52.1%(이하 중복응답)가 IMF 외환위기 극복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42.9%), 새마을운동(39.6%), 경제개발 5개년 계획(39.1%)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세대별 경험에 따라 20대∼50대는 IMF 극복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60대 이상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산업 발전과 관련해 가장 기억에 남는 이슈로는 응답자의 과반이 삼성 반도체 진출(64.2%)을 선택했다.
이어 포항제철 설립(35.9%)과 TV 세계시장 석권 등 디스플레이 강국(35.9%), 네이버·카카오 등 정보기술(IT) 벤처 신화(33.9%) 등의 순이었다.
2∼3위권에서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다.
20대∼30대는 네이버·카카오 등 IT벤처 신화, TV·디스플레이, 5G 등을 꼽았으나 60대는 포항제철 설립, 현대중공업 조선소 설립 등을 선택했다.
사회 부문에서 응답자의 10명 중 8명은 국민건강보험제도 실시(80%)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이어 초·중등 무상교육(40.3%), 금융실명제 실시(39.5%), 국민연금제도 도입(39.4%)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선택한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아져 60대 이상에서는 응답자의 93.4%에 달했다.
다른 부문과 달리 압도적으로 국민건강보험을 선택한 것에 대해 전경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충격으로 질병과 의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응답자의 83.9%는 우리나라를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국이라고 느낀 계기를 묻자 코로나19 K-방역(36.1%)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1인당 국민소득 3만불과 인구 5천만 달성을 의미하는 3050 클럽국 진입(15.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13.5%) 등의 순이었다.
반면 우리나라를 선진국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6.1%나 됐다.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저출산·고령화 대응(28.3%)이 꼽혔다.
일자리 창출(23.0%), 차세대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16.8%), 사회갈등 해소를 통한 사회통합(16.4%) 등도 뒤를 이었다.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할 산업에 대한 질문에는 신재생에너지(20.0%), 인공지능(16.2%), 바이오·헬스(13.4%), 지능형 반도체(13.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저출산·고령화 대응, 일자리 창출 등 개선 과제와 신재생에너지 육성 등을 위해서는 민간이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관련 산업을 적극 개발하도록 정부 차원의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으로 기업 활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IMF 위기 극복·국민건강보험 실시는 경제·사회계 최대 성과
한국전쟁 이후 70년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우리나라의 업적으로 경제·산업 분야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극복과 삼성의 반도체 진출이, 사회 분야에서는 국민건강보험제도 실시가 각각 꼽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한국전쟁 70년,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 대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전경련은 경제·산업·사회 분야로 나눠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이슈를 조사했다.
경제 부문에서는 응답자의 52.1%(이하 중복응답)가 IMF 외환위기 극복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42.9%), 새마을운동(39.6%), 경제개발 5개년 계획(39.1%)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세대별 경험에 따라 20대∼50대는 IMF 극복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60대 이상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산업 발전과 관련해 가장 기억에 남는 이슈로는 응답자의 과반이 삼성 반도체 진출(64.2%)을 선택했다.
이어 포항제철 설립(35.9%)과 TV 세계시장 석권 등 디스플레이 강국(35.9%), 네이버·카카오 등 정보기술(IT) 벤처 신화(33.9%) 등의 순이었다.
2∼3위권에서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다.
20대∼30대는 네이버·카카오 등 IT벤처 신화, TV·디스플레이, 5G 등을 꼽았으나 60대는 포항제철 설립, 현대중공업 조선소 설립 등을 선택했다.
사회 부문에서 응답자의 10명 중 8명은 국민건강보험제도 실시(80%)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다.
이어 초·중등 무상교육(40.3%), 금융실명제 실시(39.5%), 국민연금제도 도입(39.4%)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선택한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아져 60대 이상에서는 응답자의 93.4%에 달했다.
다른 부문과 달리 압도적으로 국민건강보험을 선택한 것에 대해 전경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충격으로 질병과 의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응답자의 83.9%는 우리나라를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국이라고 느낀 계기를 묻자 코로나19 K-방역(36.1%)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1인당 국민소득 3만불과 인구 5천만 달성을 의미하는 3050 클럽국 진입(15.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13.5%) 등의 순이었다.
반면 우리나라를 선진국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6.1%나 됐다.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저출산·고령화 대응(28.3%)이 꼽혔다.
일자리 창출(23.0%), 차세대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16.8%), 사회갈등 해소를 통한 사회통합(16.4%) 등도 뒤를 이었다.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할 산업에 대한 질문에는 신재생에너지(20.0%), 인공지능(16.2%), 바이오·헬스(13.4%), 지능형 반도체(13.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저출산·고령화 대응, 일자리 창출 등 개선 과제와 신재생에너지 육성 등을 위해서는 민간이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관련 산업을 적극 개발하도록 정부 차원의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으로 기업 활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