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확인 안된 감염자, 10만명 넘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일일 확진자 18만명 돌파
WHO "새로운 위험단계 진입"
WHO "새로운 위험단계 진입"
국내에 특별한 증상 없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앓고 지나간 환자가 10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른 나라에서 진행된 항체 검사를 토대로 파악한 결과다. 무증상자는 언제든 코로나19를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종식’ 대신 ‘피해 최소화’로 방역전략을 바꿔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오명돈 신종감염병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21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내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는 파악된 환자의 열 배 규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종감염병중앙임상위는 국내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대표 모임이다. 이날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1만2421명이다. 위원회 분석대로라면 확진자에 포함되지 않은 국내 무증상 감염자는 12만 명을 넘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위원회는 일본 중국 미국 이탈리아 등 다른 나라의 항체 검사 결과를 토대로 이런 분석을 내놨다. 스페인에서 올해 4월 27일 국민 6만 명을 무작위 검사했더니 5% 정도가 코로나19 항체를 갖고 있었다. 인구 4500만 명 중 225만 명이 이미 앓고 지나갔다. 확인된 환자 23만 명의 열 배에 이른다. 오 위원장은 “무증상 감염자가 열 배 이상 많기 때문에 ‘깜깜이 감염’ ‘n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 그는 “방역대책의 최종 목표는 코로나19 종식이 아니라 유행과 확산 속도를 늦추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환자가 발생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병상 곧 포화…환자 선별 입원시켜야"
국내 코로나19 무증상 확진자 규모가 실제보다 많다면 방역당국의 대응도 달라져야 한다. 증상이 있는 확진자와 접촉자를 찾아 격리해도 무증상 환자가 어디선가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다닌다면 코로나19를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신종감염병중앙임상위원회는 입·퇴원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 모든 확진자를 입원시킨 뒤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사람만 퇴원시키는 지금의 방식으로는 병상이 금방 포화 상태에 다다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올 1월 20일부터 5개월 넘게 코로나19 대응 체제를 가동한 의료기관들의 피로도를 낮추고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위원회가 국내 55개 병원에서 진료받은 코로나19 환자 3060명을 분석했더니 50세 미만 성인 확진자 중 호흡곤란 증상이 없고 기저질환도 없었던 환자가 산소치료를 해야 할 정도로 악화된 사례는 0.1%에 불과했다. 고위험군 환자를 따로 분류하는 것만으로도 병상을 최대 59.3% 확보할 수 있다.
항체검사를 통해 국내에 코로나19를 앓고 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도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오명돈 교수는 “항체검사는 코로나19 유행이 얼마나 진행됐는지 판단하는 수단”이라며 “항체 양성률을 알면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역 대책을 세울 수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에 쓰는 RT-PCR 검사는 몸속에 남은 바이러스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코로나19를 앓고 난 뒤 면역력이 생겼지만 바이러스가 사라진 사람은 확인할 수 없다. 반면 항체검사는 코로나19 감염 흔적을 파악할 수 있다. 국내에는 표준 검사법이 마련되지 않아 도입되지 않았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오명돈 신종감염병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21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내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는 파악된 환자의 열 배 규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종감염병중앙임상위는 국내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대표 모임이다. 이날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1만2421명이다. 위원회 분석대로라면 확진자에 포함되지 않은 국내 무증상 감염자는 12만 명을 넘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위원회는 일본 중국 미국 이탈리아 등 다른 나라의 항체 검사 결과를 토대로 이런 분석을 내놨다. 스페인에서 올해 4월 27일 국민 6만 명을 무작위 검사했더니 5% 정도가 코로나19 항체를 갖고 있었다. 인구 4500만 명 중 225만 명이 이미 앓고 지나갔다. 확인된 환자 23만 명의 열 배에 이른다. 오 위원장은 “무증상 감염자가 열 배 이상 많기 때문에 ‘깜깜이 감염’ ‘n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 그는 “방역대책의 최종 목표는 코로나19 종식이 아니라 유행과 확산 속도를 늦추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환자가 발생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병상 곧 포화…환자 선별 입원시켜야"
국내 코로나19 무증상 확진자 규모가 실제보다 많다면 방역당국의 대응도 달라져야 한다. 증상이 있는 확진자와 접촉자를 찾아 격리해도 무증상 환자가 어디선가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다닌다면 코로나19를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신종감염병중앙임상위원회는 입·퇴원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 모든 확진자를 입원시킨 뒤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사람만 퇴원시키는 지금의 방식으로는 병상이 금방 포화 상태에 다다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올 1월 20일부터 5개월 넘게 코로나19 대응 체제를 가동한 의료기관들의 피로도를 낮추고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위원회가 국내 55개 병원에서 진료받은 코로나19 환자 3060명을 분석했더니 50세 미만 성인 확진자 중 호흡곤란 증상이 없고 기저질환도 없었던 환자가 산소치료를 해야 할 정도로 악화된 사례는 0.1%에 불과했다. 고위험군 환자를 따로 분류하는 것만으로도 병상을 최대 59.3% 확보할 수 있다.
항체검사를 통해 국내에 코로나19를 앓고 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도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오명돈 교수는 “항체검사는 코로나19 유행이 얼마나 진행됐는지 판단하는 수단”이라며 “항체 양성률을 알면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역 대책을 세울 수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에 쓰는 RT-PCR 검사는 몸속에 남은 바이러스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코로나19를 앓고 난 뒤 면역력이 생겼지만 바이러스가 사라진 사람은 확인할 수 없다. 반면 항체검사는 코로나19 감염 흔적을 파악할 수 있다. 국내에는 표준 검사법이 마련되지 않아 도입되지 않았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