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1월 소비자물가가 예상을 넘어 연간 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19일(현지시간) 영국 국가통계국(ONS) 은 1월중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 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경제학자들이 예상한 2.8%를 넘어선 것이다. 또 작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알코올 및 담배 가격을 제외한 핵심 인플레이션은 1월중 연 3.7% 상승해 2024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핵심 서비스 물가는 연 5%로 크게 올랐다. 물가 데이터가 발표된 후 영국 파운드화는 달러화 대비 큰 변동없는 1 파운드당 1.261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영국의 소비자 물가는 지난 해 9월 3년만에 최저 수준인 1.7%를 기록했지만 그 후 연료 비용이 오르고 서비스 수수료가 물가보다 더 빨리 오르면서 월별 가격이 올랐다. 영란은행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면서 1월에 기준 금리를 4.5%로 낮췄다. 영란은행은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신호를 보냈으나 여건이 만만치 않다. 올해 3분기에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이 3.7%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ONS의 수석 경제학자 그랜트 피츠너는 “유가 상승으로 크리스마스와 새해 기간의 항공료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영국 부수석 경제학자 루스 그레고리는 ″높은 에너지 가격이 CPI를 3% 이상으로 끌어올렸으나 2026년에는 2%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여전히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상승이 더 지속되면서 금리가 예상보다 적게 내리거나 늦게 내리는 것이 위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유한킴벌리가 가벼운 요실금에 최적화된 ‘디펜드 스타일 데일리 라이너·패드’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데일리 라이너·패드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좋은 제품이다. 유한킴벌리가 자체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30대부터 70대 이하 여성 10명 중 4명(약 36%)이 요실금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약 80%는 가벼운 수준이라고 업계에선 보고 있다.신제품은 팬티라이너·생리대와 같은 여성용품과 명확히 구분되면서도 그 장점까지 지닐 수 있도록 개발됐다. 생리대는 점성이 높고 고형 성분이 많은 생리혈 흡수에 최적화돼 있다. 반면 이 제품은 한 번에 확 쏟아지고 수분 함량이 높은 요의 흡수에 최적화돼 있다. 데일리 라이너는 분비물과 요실금을 한 번에 잡아주고 날개를 적용해 고정력을 강화했다. 데일리 패드는 인체 구조에 따라 패드 앞부분을 넓게 설계해 요 흡수에 최적화되도록 했다. 무엇보다 생리대처럼 얇은 두께로 티 나지 않은 가벼운 착용감을 제공한다. 일부 제품에는 날개까지 적용해 고정력을 강화했다.유한킴벌리는 최근 3개월간 요실금을 경험한 100명을 대상으로 자사 생리대와 비교 착용한 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약 80%가 데일리 패드 제품에 만족감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 관계자는 "디펜드 라이너와 패드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고 있고 소비자의 평가도 매우 긍정적"이라며 "신제품이 관련 시장의 확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에 25%가 넘는 초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국내 반도체업계의 시름이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력 수출품인 메모리 반도체는 미국에 공장을 둔 마이크론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어서다. 안 그래도 반도체특별법 무산으로 마이크론 등 해외 라이벌에 비해 연구개발(R&D)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또 다른 악재가 덮친 셈이다.19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지난해 미국에 반도체 제품 106억8000만달러(약 15조원)어치를 수출했다. 1년 전보다 116%나 늘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미국 빅테크들이 앞다퉈 AI데이터센터 건립에 나선 덕분이다.반도체는 지난해 자동차에 이어 미국에 두 번째로 많이 수출한 품목이다. 수출 물량 자체가 많은 데다 성장성도 큰 만큼 초고율 관세가 현실화하면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일각에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메모리 반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미국 기업이 한국산을 외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다. 한국산 메모리에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면 이를 사들여야 하는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기업의 부담이 커진다는 것도 이런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하지만 미국의 관세정책이 트럼프 정부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장기적으로 미국 공장 추가 설립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글로벌 기업 생산시설을 미국에 유치하는 작업은 민주당 정권인 조 바이든 정부에서도 진행됐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이어 테일러에 추가로 파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