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문화유산 지킬 지뢰제거·산림황폐화 대책 급선무
"DMZ 세계적 활용 위한 범정부 차원의 민관 협의체 필요"
[6.25 70년 DMZ] ③ 금단의 땅…'열린 공간'으로 거듭날까(끝)
비무장지대(DMZ)의 생태·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세계적인 '화합·협력의 장'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DMZ 내 생태·문화 자원 보존과 활용방안을 강구하고 있고 국제사회의 공조 방안도 모색 중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의 결실을 이루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

DMZ에 묻혀있는 수많은 지뢰가 발길을 가로막고 있고, 산림의 황폐화가 진행되며 생태계를 해치고 있다.

특히 DMZ를 공유하는 북한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최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남북관계는 급격히 경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래의 DMZ가 '평화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통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6.25 70년 DMZ] ③ 금단의 땅…'열린 공간'으로 거듭날까(끝)
◇ '남북 합쳐 총 207만발'…지뢰 제거가 선결과제
생태유산과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DMZ를 활용하기 위해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과제는 바로 지뢰 제거다.

한국지뢰제거연구소에 따르면 군사분계선(MDL) 이남과 민통선 지역 등에 매설된 지뢰는 127만 발로 추정된다.

북한 측 DMZ에는 약 80만 발의 지뢰가 매설된 것으로 추정됐다.

지뢰로 인한 군인과 민간인 피해도 끊이지 않고 있다.

6·25 전쟁 이후 지뢰 피해는 총 96건이 발생해 13명이 사망했으며, 84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군인이 3명, 민간인이 10명이고 부상자는 군인이 33명, 민간인이 51명으로 집계됐다.

DMZ 내 지뢰 제거는 판문점 회담 이후 체결된 9·19 군사합의서에 따라 남북이 공동으로 진행하기도 했으나, 북미협상 결렬 이후 북측이 호응하지 않은 데다 북한이 지난 16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뒤 사실상 군사합의서도 파기하겠다고 위협하면서 더욱 풀기 어려운 과제가 됐다.

김기호 한국지뢰제거연구소장은 "민통선 영농지역과 지뢰지대가 가까이 있어 민간인들이 지뢰 위험에 많이 노출돼 있다"면서 "현재 군에서 지뢰제거작업을 진행하고 있긴 하지만 민간의 전문가를 투입하고, 제거 방식을 국제표준으로 적용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6.25 70년 DMZ] ③ 금단의 땅…'열린 공간'으로 거듭날까(끝)
◇ 곳곳서 진행되는 산림 황폐화…지속적인 보존 노력 필요
또 DMZ 내 산불이 잦고, 특히 북한지역 DMZ의 황폐화가 상당히 진행돼 보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북한 산림의 황폐화는 서부전선 DMZ의 시작점부터 뚜렷하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북측의 DMZ 선전마을인 기정동 마을 주변 북쪽 산지들의 황폐화가 심각하다.

임진강 하류지역과 파주에서 보이는 북한의 황해북도 개풍군 전체가 수목의 불모지로 변해있다.

동부전선 DMZ는 금강산의 진입 관문 격인 무산 등에서 북한군 연료 충당의 목적으로 무분별한 벌채가 이뤄져 그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DMZ의 생태자원 보존과 활용을 위한 우리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산림청은 매년 DMZ 일대 산림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50ha를 복원했다.

올해는 감시 초소(GP) 철거지와 화살머리고지 유해 발굴지 산림 복원 실태를 조사한다.

경기도도 지난해부터 DMZ를 평화생태지구로 만들고 일원의 생태자원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북한의 공동 노력이 없이는 보존이 쉽지 않다.

배제선 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은 "문제는 산림 부족이 재난 피해로 이어진다는 것"이라며 "북한 산림 황폐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야말로 남북교류에 있어 정부가 가장 먼저 재원을 투자해야 할 분야이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곳"이라고 지적했다.

[6.25 70년 DMZ] ③ 금단의 땅…'열린 공간'으로 거듭날까(끝)
◇ 갈등·대결 아닌 세계 평화의 상징으로…범정부 차원 협의체 필요
DMZ는 냉전 시대 마지막 남은 접경지다.

그만큼 DMZ에 쏠리는 세계적인 관심이 크다.

DMZ가 가진 역사적 함의, 국제적 관심을 활용하는 시도도 꾸준히 이어졌다.

남북 관계를 푸는 만남과 협력의 공간이자 한반도를 넘는 세계 평화의 상징으로 만드는 노력이다.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에서 비무장지대를 분단과 대결의 상징에서 국제평화협력지대로 변화시키자는 제안을 했다.

또 DMZ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공동 등재하는 방안을 추진하자는 구상도 내놨다.

하지만 이런 제안과 구상은 북한의 반발과 비협조로 인해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최근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남북관계가 급격히 악화하면서 DMZ가 다시 갈등과 대결의 장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6.25 70년 DMZ] ③ 금단의 땅…'열린 공간'으로 거듭날까(끝)
이에 대해 통일부 차관을 지낸 김형석 대진대 교수(DMZ연구원 통일정책연구센터장)는 "DMZ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공간인데 이 공간을 어떻게 향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는 범정부 차원의 협의체가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독일의 분단 현장도 교육과 관광의 장소가 됐다"면서 "남북관계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닌, 정부와 민간이 유기적으로 참여하고, 향후 북한도 참여할 수 있는 싱크탱크 형태의 협의체를 가동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