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빗썸 "이정훈 의장 재산국외도피 혐의는 사실무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법원 “외국환거래법상 주식 처분은 신고 대상 아니다”

지난 21일 업계에 따르면 경찰은 이 의장이 2018년 김병건 BK그룹 회장에 4000억원 규모의 빗썸홀딩스 지분 매각을 추진하면서 기획재정부 장관에 신고하지 않아 외국환거래법을 어겼다고 보고 재산국외도피 혐의로 수사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빗썸 측은 해당 혐의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 이 의장의 경우 주식 취득이 아니라 처분에 해당해 외국환거래법상 '자본거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외국환거래법(제3조 19항)은 "'자본거래'란 증권의 발행 모집, 증권 또는 이에 관한 권리의 '취득'"이라고 명시했다.
이와 관련해 이 의장 측 법률대리인은 "해외법인 등 외국인이 외국인투자촉진법상 외국인투자신고를 통해 국내회사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별도 외국환거래법상 신고는 필요치 않다"면서 "우리나라 외국환거래법령에서는 주식을 취득하는 자에게 신고 의무를 부여하고 있을 뿐, 주식양도인에게 신고 의무를 부여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의장에게는 신고 의무가 없다"고 덧붙였다.
빗썸 관계자는 "싱가포르 법인인 BTHMB가 빗썸홀딩스 주식을 매수할 당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이미 주식 취득에 대한 자본거래 신고를 마쳤다"면서 "취득자가 의무 신고를 하는 과정에서 이미 이 의장이 매도인으로 기록됐으며 매도인은 관련 법상 신고 의무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산하 한경닷컴 기자 san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