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도 넉달 새 8조7000억弗 쏟아부어…"역대 최고 속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기 때보다 2.4배 많아
실물경제 유입된 것도 차이
실물경제 유입된 것도 차이
미국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돈을 풀었다. 미국 내에서 코로나19 환자가 처음 발생한 지난 2월 하순 이후 지금까지 미 행정부와 중앙은행(Fed)이 경기부양을 위해 쏟아붓기로 한 돈만 8조7000억달러에 달한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3월에 1차 83억달러, 2차 1000억달러, 3차 2조2000억달러의 부양책을 통과시킨 데 이어 4월엔 4840억달러의 추가 부양책을 내놨다. 1~4차 부양책 규모는 약 2조8000억달러로, 지난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20조5000억달러의 13.7%에 달한다. Fed도 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낮춘 데 이어 자산매입, 긴급 대출 등 양적완화를 통해 5조9000억달러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 같은 경기부양 행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교할 때 규모 면에서 훨씬 클 뿐 아니라 속도 측면에서도 압도적으로 빠른 것이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8년 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간 네 차례에 걸쳐 1조9550억달러의 부양책을 내놨다. 금융위기를 촉발한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위기가 처음 수면 위로 부각된 2007년 8월 이후 거의 1년반이 지나서야 2조달러 규모의 부양책이 마련됐다.
금융위기 때 Fed가 양적완화에 들어간 것도 2008년 12월부터였다. Fed는 이후 2010년 3월까지 양적완화를 통해 1조6500억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은 비슷한 점이 많지만 큰 차이가 있다”며 “바로 (경기부양) 스피드”라고 분석했다.
금융위기 땐 금융권의 부실 처리에 집중했기 때문에 부양자금이 주로 금융권을 맴돈 반면 코로나19 위기에선 상당한 현금이 실물경제로 흘러든 것도 차이점이다. 미 정부와 의회가 코로나19에 따른 셧다운(봉쇄) 충격을 줄이기 위해 개인에 대한 현금 지원, 중소기업 급여 지원 등을 대폭 늘린 결과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개인과 기업들의 ‘현금 확보’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미 CNBC는 지난 1월 코로나19가 미국에 처음 닥친 후 지난달까지 미국 은행의 예금 계정에 2조달러에 달하는 기록적인 현금이 유입됐다고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집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특히 4월 한 달에만 예금액이 8650억달러나 늘었으며 이는 지난해 1년간의 예금 증가액보다 많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은행들도 경기침체를 맞아 선뜻 대출에 나서기 힘들다는 것이다. CNBC는 “은행들이 현금 홍수에 빠져 있지만 당장 보유한 현금을 갖고 할 일이 많지 않다”고 전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미 행정부와 의회는 3월에 1차 83억달러, 2차 1000억달러, 3차 2조2000억달러의 부양책을 통과시킨 데 이어 4월엔 4840억달러의 추가 부양책을 내놨다. 1~4차 부양책 규모는 약 2조8000억달러로, 지난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20조5000억달러의 13.7%에 달한다. Fed도 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낮춘 데 이어 자산매입, 긴급 대출 등 양적완화를 통해 5조9000억달러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 같은 경기부양 행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교할 때 규모 면에서 훨씬 클 뿐 아니라 속도 측면에서도 압도적으로 빠른 것이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8년 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간 네 차례에 걸쳐 1조9550억달러의 부양책을 내놨다. 금융위기를 촉발한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위기가 처음 수면 위로 부각된 2007년 8월 이후 거의 1년반이 지나서야 2조달러 규모의 부양책이 마련됐다.
금융위기 때 Fed가 양적완화에 들어간 것도 2008년 12월부터였다. Fed는 이후 2010년 3월까지 양적완화를 통해 1조6500억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은 비슷한 점이 많지만 큰 차이가 있다”며 “바로 (경기부양) 스피드”라고 분석했다.
금융위기 땐 금융권의 부실 처리에 집중했기 때문에 부양자금이 주로 금융권을 맴돈 반면 코로나19 위기에선 상당한 현금이 실물경제로 흘러든 것도 차이점이다. 미 정부와 의회가 코로나19에 따른 셧다운(봉쇄) 충격을 줄이기 위해 개인에 대한 현금 지원, 중소기업 급여 지원 등을 대폭 늘린 결과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개인과 기업들의 ‘현금 확보’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미 CNBC는 지난 1월 코로나19가 미국에 처음 닥친 후 지난달까지 미국 은행의 예금 계정에 2조달러에 달하는 기록적인 현금이 유입됐다고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집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특히 4월 한 달에만 예금액이 8650억달러나 늘었으며 이는 지난해 1년간의 예금 증가액보다 많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은행들도 경기침체를 맞아 선뜻 대출에 나서기 힘들다는 것이다. CNBC는 “은행들이 현금 홍수에 빠져 있지만 당장 보유한 현금을 갖고 할 일이 많지 않다”고 전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