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욱구 現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인터뷰
전쟁터에서 돌아오지 못한 12만 참전자
2000년에 시작한 유해발굴 사업
20년간 1만구 유해 발굴했지만
아직 12만3000명 땅속에 잠들어
가족 품에 안긴 유해는 142구뿐
"보건소에서 DNA 시료 채취하세요"
지난 3월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DMZ) 안 화살머리고지. 한 병사의 외침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마스크를 쓴 병사들이 붓으로 흙을 조심스럽게 털어내자 하늘을 향해 쓰러진 채 고개를 옆으로 돌린 유골이 온전히 모습을 나타냈다. 유골 옆에 놓인 철모와 어지럽게 나뒹구는 탄통, 곳곳에 흩어진 탄피들은 이 유골의 주인이 어떻게 싸우다 어떻게 죽어갔는지를 고스란히 보여줬다.
고(故) 정영진 하사. 한국전쟁 당시 부인과 4살배기 아들을 두고 육군 2사단 31연대에 입대한 그는 그해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철의 삼각지대' 화살머리고지에서 27세의 나이로 산화했다. 불과 휴전을 2주도 채 남겨두지 않은 1953년 7월 14일이었다. 68년간 땅 속에 묻혀있던 정 하사는 그제서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지난달 정부는 늦게나마 정 하사에게 화랑무공훈장을 수여했다. 훈장은 아들 정해수씨(72)가 대신 받았다. "정영진 하사는 정말 다행이지만, 아직 12만3000여 명의 6·25전쟁 전사자께서 전장(戰場)에 남아계십니다. 유해도 수습되지 못한 채 말이죠. 나라를 위해 싸우다 산화(散花)한 모든 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는 그날까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습니다."
허욱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57·사진)은 6·25 발발 70주년을 맞아 최근 진행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6·25전쟁 유해발굴 사업은 국가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국책사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1월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허 단장은 현역 복무 시절에도 국방부 유해발굴정책지원 태스크포스(TF)장 등을 맡으며 유해발굴 사업에 깊숙이 참여해왔다.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2000년에 전쟁 발발 50주년을 맞이해 처음 시작됐다. 이후 뜨거운 국민적 성원에 힘입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2007년 국방부 산하 유해발굴감식단이 창설됐다. 덕분에 정부는 지난 20년간 약 1만구의 국군 전사자 유해를 수습해낼 수 있었다. 병사 및 전문가 등 연인원 10만명의 인력이 투입돼 이뤄낸 성과다.
하지만 허 단장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그는 "유가족 대부분이 70~90대 고령의 나이에 접어든 가운데, 아직 12만3000여명의 유해가 땅속에 남아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유해를 발굴해낼 수 있는 인력과 조직 운영방법이 무엇인지 아직도 고민이 많다"고 했다.
허 단장은 "흔히 화살머리고지 등 최전방에서만 유해발굴이 이뤄지는 것으로 착각하는 분들이 많다"며 "유해발굴은 전국 각지에서 병사들이 구슬땀 흘리며 이뤄낸 성과라는 점을 알아달라"고 했다. 그는 "전쟁 당시 낙동강 지역까지 국군이 밀리기도 하고, 인천상륙작전 과정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하는 등 크고 작은 전투가 전국에서 이뤄졌다"며 "대한민국 전 지역이 발굴 대상인 만큼, 인근 지역에서 유해를 발견하면 꼭 유해발굴감식단에 신고해달라"고 말했다.
어렵게 유해를 발굴해내도 1%에 불과한 신원확인율 역시 문제로 꼽힌다. 국방부가 지난 20년간 발굴해낸 1만여구의 유해 가운데 가족 품으로 돌아간 유해는 24일 현재 142구에 불과하다.
허 단장은 "전사자 신원 확인을 위해선 유가족 DNA 시료 채취가 필수적인데, 아직 DNA 시료 채취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는 유가족 어르신들도 많다"며 "전국 모든 보건소에서 전사자 유해 확인을 위한 DNA 시료 채취를 무료로 진행하고 있으니 유해를 찾고픈 가족은 언제든 보건소를 방문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유가족은 유해발굴감식단으로 연락을 주면 직접 자택으로 찾아간다"며 "유가족들께서도 포기하지 말고 전사자 신원 확인 및 송환을 위한 DNA 시료 채취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한국전쟁 70주년 기획 인터뷰-참전자의 기억]
① "가슴 속 실탄 박힌 채 70년…학도병 참전 후회 없다"
② 군번도 총도 없이 싸운 女軍 "살려면 돌이라도 들어야지"
③ 인민군 탈영후 국군 입대…"오로지 고향 땅 밟기 위해 싸웠다"
④ 전투기에 폭탄 달던 중학생 "그 시절 누구든 싸워야 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