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시산업진흥회 "전시·박람회 개최 시 방역비용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개 행사 당 최대 500만원 지원
행사 현장 방역활동 강화 유도
행사 현장 방역활동 강화 유도
![이달 4~7일 대치동 세텍(SETEC)에서 열린 '서울경향하우징페어'를 찾은 관람객이 전시장 입구에서 발열검사를 받고 있다. 현장에서는 전체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명제, 마스크 및 비닐장갑 착용, 발열검사 등 4~5단계의 방역조치가 이뤄졌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6/01.23015444.1.jpg)
방역 비용 지원대상은 지난 5월부터 앞으로 개최를 앞둔 전시면적 2000㎡ 이상인 전시·박람회다. 전체 지원 예산은 총 2억3500만원. 1개 행사 당 방역비용의 50%를 최대 5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지원금은 인건비를 제외한 마스크, 손소독제 등 소모품비, 열화상카메라와 구급차 등 장비임차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건의 전시·박람회를 여는 주최사는 최대 2개 행사까지 방역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지원은 다중이 모이는 행사라도 철저한 방역만 이뤄진다면 개최가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5월부터 최근까지 코엑스와 킨텍스, 벡스코 등에서 열린 10여 건 전시·박람회를 통해 이뤄진 방역 활동의 효과가 입증됐기 때문이다.
지난달 초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 열린 동아전람의 MBC건축박람회는 나흘 동안 4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이달 초 수도권 확산 우려 속에 열린 치과기자재전시회, 정원·조경박람회, 서울경향하우징페어 등은 12만 명 이상이 행사장을 찾았지만 현재까지 단 한 건의 확진 사례도 나오지 않았다. 행사 현장에서는 입장객 실명제, 발열 확인 등 전시장 입구부터 4~5단계의 겹겹이 방역 프로그램이 가동됐다.
현장에서 방역 활동을 직접 확인한 참여기업과 관람객들 사이에서는 전시장 방역이 대형마트나 백화점보다 더 철저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전시·박람회는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다중집합 행사와 다르게 봐야 한다"는 반응도 이어졌다. 전시업계는 그동안 정부를 향해 "전시주최사, 장치디자인, 서비스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해 융자 등 현금성 지원보다 전시·박람회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을 해왔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