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기업 빚, 사상 첫 'GDP 2배' 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前분기보다 4.1%P 올라 201.1%
4분기 208%로 치솟을 전망
43개국 평균보다 40%P 높아
4분기 208%로 치솟을 전망
43개국 평균보다 40%P 높아
지난 1분기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가계·기업)의 빚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200%를 넘어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한 GDP 증가율 하락으로 연말에는 208%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0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말 현재 명목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01.1%로 나타났다. 작년 1분기 말 대비 12.3%포인트, 전 분기 말 대비 4.1%포인트 오른 수치다. 민간신용은 가계와 기업의 대출, 채권, 정부융자 등 부채를 뜻한다.
1분기 말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96.8%로 전 분기 말 대비 1.6%포인트, 기업신용 비율은 104.3%로 전 분기 말 대비 2.5%포인트 상승했다.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2017년 말 181.9%에서 2018년 말 187.2%, 2019년 말 197.0%로 오른 데 이어 1분기 말 처음으로 200%를 넘겼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올해 말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작년 말 대비 10%포인트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날 발표한 ‘경제·산업동향&이슈’ 보고서에서 올해 민간신용 증가율이 최근 2년간의 평균 수준(6.1%)을 유지하고, 명목 GDP 증가율이 자체 전망치인 0.8%를 기록하면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연말 208%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다른 주요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에 신용자료를 제출하고 있는 43개국의 작년 말 평균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156.1%로, 한국보다 약 40%포인트 낮았다.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장기 추세에서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신용갭도 한국은 작년 말 7.0%포인트로 주요 국가 중 다섯 번째로 컸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 증가세는 주로 명목 GDP 증가율 하락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민간신용 확대로 인해 가계와 중소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채무부담 증가에 따른 민간부문 소비와 투자 둔화가 실물경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임도원/김익환 기자 van7691@hankyung.com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0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말 현재 명목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01.1%로 나타났다. 작년 1분기 말 대비 12.3%포인트, 전 분기 말 대비 4.1%포인트 오른 수치다. 민간신용은 가계와 기업의 대출, 채권, 정부융자 등 부채를 뜻한다.
1분기 말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96.8%로 전 분기 말 대비 1.6%포인트, 기업신용 비율은 104.3%로 전 분기 말 대비 2.5%포인트 상승했다.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2017년 말 181.9%에서 2018년 말 187.2%, 2019년 말 197.0%로 오른 데 이어 1분기 말 처음으로 200%를 넘겼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올해 말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작년 말 대비 10%포인트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날 발표한 ‘경제·산업동향&이슈’ 보고서에서 올해 민간신용 증가율이 최근 2년간의 평균 수준(6.1%)을 유지하고, 명목 GDP 증가율이 자체 전망치인 0.8%를 기록하면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연말 208%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다른 주요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에 신용자료를 제출하고 있는 43개국의 작년 말 평균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156.1%로, 한국보다 약 40%포인트 낮았다.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장기 추세에서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신용갭도 한국은 작년 말 7.0%포인트로 주요 국가 중 다섯 번째로 컸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 증가세는 주로 명목 GDP 증가율 하락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민간신용 확대로 인해 가계와 중소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채무부담 증가에 따른 민간부문 소비와 투자 둔화가 실물경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임도원/김익환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