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사태'에 주식 양도세까지…증권주 줄줄이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키움 6%·미래에셋대우 4.7%↓
"신규 투자자 진입 걸림돌" 분석
"신규 투자자 진입 걸림돌" 분석
정부가 2023년부터 대주주뿐만 아니라 소액주주로 과세 대상을 넓히기로 하자 증권주가 동반 하락했다. 환매가 중단된 옵티머스 펀드, 환매 중단 위기인 젠투 펀드 판매사들의 주가는 더 떨어졌다.
키움증권은 25일 6.02% 하락한 9만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미래에셋대우(-4.73%), 메리츠증권(4.64%), NH투자증권(-4.31%), 한국금융지주(-3.83%), 삼성증권(-3.76%) 등도 줄줄이 하락했다. 이날 정부가 2023년부터 국내 상장주식 양도소득에 대해 대주주뿐 아니라 소액주주에게까지 과세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발표하자 낙폭이 커졌다.
시장이 이번 정책을 증권주에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더 크다고 받아들인 영향이다. 구경회 SK증권 연구원은 “주식거래세 인하로 거래 회전율이 높아지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다른 투자자산과 비교했을 때 주식투자의 장점인 ‘비과세’ 폐지는 신규 투자자가 진입하는 데 심리적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거래세 인하로 매매 회전율을 높일 만한 전문투자자 수는 제한적인 데 비해 양도차익 과세에 부담을 느낄 만한 투자자 수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식에 1억원을 넣어 4000만원을 벌면 현재 세금(증권거래세)은 35만원이다. 2023년에는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를 합쳐 421만원을 내야 한다.
검찰이 옵티머스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 연기 사태와 관련해 판매사인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압수수색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는 더 떨어졌다. 키움증권은 홍콩계 헤지펀드 젠투파트너스의 환매 연기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에 영향을 받았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키움증권은 25일 6.02% 하락한 9만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미래에셋대우(-4.73%), 메리츠증권(4.64%), NH투자증권(-4.31%), 한국금융지주(-3.83%), 삼성증권(-3.76%) 등도 줄줄이 하락했다. 이날 정부가 2023년부터 국내 상장주식 양도소득에 대해 대주주뿐 아니라 소액주주에게까지 과세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발표하자 낙폭이 커졌다.
시장이 이번 정책을 증권주에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더 크다고 받아들인 영향이다. 구경회 SK증권 연구원은 “주식거래세 인하로 거래 회전율이 높아지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다른 투자자산과 비교했을 때 주식투자의 장점인 ‘비과세’ 폐지는 신규 투자자가 진입하는 데 심리적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거래세 인하로 매매 회전율을 높일 만한 전문투자자 수는 제한적인 데 비해 양도차익 과세에 부담을 느낄 만한 투자자 수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식에 1억원을 넣어 4000만원을 벌면 현재 세금(증권거래세)은 35만원이다. 2023년에는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를 합쳐 421만원을 내야 한다.
검찰이 옵티머스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 연기 사태와 관련해 판매사인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압수수색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는 더 떨어졌다. 키움증권은 홍콩계 헤지펀드 젠투파트너스의 환매 연기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에 영향을 받았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