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 1년반 넘도록 징용 배상 판결 미이행…괘씸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日시민단체 대표 "일본 정부가 인정하지 않아 역사 왜곡되는 것"
근로정신대 소송지원 모임, 코로나로 중단된 '금요행동' 재개 데라오 데루미(寺尾光身) '나고야 미쓰비시(名古屋三菱)·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모임'(이하 모임) 공동대표는 미쓰비시중공업이 1년 반이 넘도록 징용 배상 판결을 이행하지 않는 것에 대해 "괘씸하다"고 비판했다.
데라오 대표는 "미쓰비시중공업은 징용 피해자들이 한국 법원에 제소하자 법정에서 다퉜다.
이는 판결이 확정되면 결과를 수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행동"이라며 미쓰비시의 판결 이행을 촉구하고서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단된 '금요행동'을 재개하는 것을 계기로 이뤄진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징용 문제에 관한 의견을 밝혔다. 금요행동은 징용 피해자를 부린 책임이 있는 기업인 미쓰비시 중공업 앞에서 일제강점기에 동원된 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들에 대한 책임 있는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활동이다.
2007년부터 13년째 이어지고 있다.
모임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올해 2월 28일을 끝으로 약 4개월간 금요행동을 중단했다가 이날 미쓰비시중공업의 주주총회에 맞춰 재개한다.
주총에 참석하는 주주들과 시민들에게 미쓰비시 중공업의 무책임한 태도를 알리고 징용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려는 것이다. 데라오 대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그간 당국이 현(縣·광역자치단체) 경계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자제하라고 요청했는데 최근에 해제됐고 마침 주주총회도 금요일에 열리게 돼 이에 맞춰 금요행동을 재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를 이유로 모임이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금요행동을 할 수 없었지만 모임은 미쓰비시중공업 본사에 징용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전단을 우편으로 보내거나 비슷한 취지의 엽서를 사장에게 보내는 등 가능한 범위에서 활동을 이어왔다. 데라오 대표는 보낸 우편물은 본사에 분명히 도착했을 것이다"며 "다만 사장 등 책임 있는 자들의 반응은 없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판결 이행을 미루는 동안 고령의 징용피해자가 하나둘 세상을 떠나는 것에 관해 "정말 시간이 없다.
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일본 기업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선정된 근대 산업 시설에서 발생한 조선인 등의 강제 노역을 일본 정부가 제대로 알리지 않은 것에 관해서도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데라오 대표는 "군함도에서 실제로 조선인이 강제노동했고 중국인도 강제 노동에 시달렸다"며 일본 시민단체들이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역사 왜곡에 항의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소개했다.
세계유산을 소개하는 시설인 산업유산정보센터가 최근 도쿄(東京)에 개관했는데 마치 군함도에 징용된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강제노역이 없었던 것처럼 부각하는 방향으로 전시가 이뤄지고 있다. 데라오 대표는 징용을 둘러싼 역사 왜곡 문제에 관해 "지금 일본 정부가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그 근본에 있다"며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고 두 번 다시 반복하지 않도록 아이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5년 12월에 윤병세 당시 한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당시 일본 외무상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합의한 것을 거론하며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도 "과거를 잊으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그러면 또 같은 잘못을 하게 된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근로정신대 소송지원 모임, 코로나로 중단된 '금요행동' 재개 데라오 데루미(寺尾光身) '나고야 미쓰비시(名古屋三菱)·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모임'(이하 모임) 공동대표는 미쓰비시중공업이 1년 반이 넘도록 징용 배상 판결을 이행하지 않는 것에 대해 "괘씸하다"고 비판했다.
데라오 대표는 "미쓰비시중공업은 징용 피해자들이 한국 법원에 제소하자 법정에서 다퉜다.
이는 판결이 확정되면 결과를 수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행동"이라며 미쓰비시의 판결 이행을 촉구하고서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단된 '금요행동'을 재개하는 것을 계기로 이뤄진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징용 문제에 관한 의견을 밝혔다. 금요행동은 징용 피해자를 부린 책임이 있는 기업인 미쓰비시 중공업 앞에서 일제강점기에 동원된 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들에 대한 책임 있는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활동이다.
2007년부터 13년째 이어지고 있다.
모임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올해 2월 28일을 끝으로 약 4개월간 금요행동을 중단했다가 이날 미쓰비시중공업의 주주총회에 맞춰 재개한다.
주총에 참석하는 주주들과 시민들에게 미쓰비시 중공업의 무책임한 태도를 알리고 징용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려는 것이다. 데라오 대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그간 당국이 현(縣·광역자치단체) 경계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자제하라고 요청했는데 최근에 해제됐고 마침 주주총회도 금요일에 열리게 돼 이에 맞춰 금요행동을 재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를 이유로 모임이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금요행동을 할 수 없었지만 모임은 미쓰비시중공업 본사에 징용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전단을 우편으로 보내거나 비슷한 취지의 엽서를 사장에게 보내는 등 가능한 범위에서 활동을 이어왔다. 데라오 대표는 보낸 우편물은 본사에 분명히 도착했을 것이다"며 "다만 사장 등 책임 있는 자들의 반응은 없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판결 이행을 미루는 동안 고령의 징용피해자가 하나둘 세상을 떠나는 것에 관해 "정말 시간이 없다.
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일본 기업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선정된 근대 산업 시설에서 발생한 조선인 등의 강제 노역을 일본 정부가 제대로 알리지 않은 것에 관해서도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데라오 대표는 "군함도에서 실제로 조선인이 강제노동했고 중국인도 강제 노동에 시달렸다"며 일본 시민단체들이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역사 왜곡에 항의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소개했다.
세계유산을 소개하는 시설인 산업유산정보센터가 최근 도쿄(東京)에 개관했는데 마치 군함도에 징용된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나 강제노역이 없었던 것처럼 부각하는 방향으로 전시가 이뤄지고 있다. 데라오 대표는 징용을 둘러싼 역사 왜곡 문제에 관해 "지금 일본 정부가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그 근본에 있다"며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고 두 번 다시 반복하지 않도록 아이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5년 12월에 윤병세 당시 한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당시 일본 외무상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합의한 것을 거론하며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도 "과거를 잊으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그러면 또 같은 잘못을 하게 된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