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美 홍콩보안법 비자 제한에 "내정간섭" 반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콩 사무는 순수히 중국 내정" 반박
전문가 "중국 즉각 맞대응 없을 것"
전문가 "중국 즉각 맞대응 없을 것"
미국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을 겨냥해 홍콩 자치권 훼손과 인권 및 자유 침해에 책임이 있는 중국 관리들의 비자를 제한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내정간섭을 중단하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27일 관영 중앙(CC)TV에 따르면 주미 중국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중국은 미국의 잘못된 조치에 반대한다"며 "홍콩 사무는 순수히 중국 내정에 속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홍콩 사무에 대한 외부 세력의 어떠한 간섭도 용납하지 않는다"면서 "홍콩보안법 제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중국 중앙정부의 권리"라고 주장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은 "중국 정부의 홍콩 통치 법률은 중국 헌법과 홍콩 기본법에 근거하는 것이지 '중국과 영국의 공동선언'이 아니다"라며 미국을 향해 "'중·영 공동선언'을 근거로 홍콩 사무에 개입할 어떠한 자격도 법률적 근거도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사무소도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을 내고 간섭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사무소는 "중국 중앙정부가 홍콩 특별행정구 자치권을 파괴한다는 미국의 모함은 흑백이 전도된 것"이라며 "누구도 중국 정부보다 홍콩의 번영과 안정에 관심을 두지도 못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성명에서 "1984년 중·영 공동선언에 보장된 홍콩의 고도의 자치권을 훼손하거나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침해하는 데 책임이 있거나 연루됐다고 여겨지는 전·현직 중국 공산당 관리들에 대한 비자 제한을 발표한다. 이들의 가족 구성원도 제한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교가에서는 중국 외교부 본부가 아닌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과 홍콩 사무소가 항의 성명을 낸 것은 중국이 '수위 조절'을 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 미중 관계가 크게 악화한 상황에서 미국의 비자 제재가 큰 효과를 갖지 못하며, 중국도 마땅한 대응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시각이다.
추이레이 중국 국제문제연구원 연구원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지금은 (중국 관리들이) 미국에 갈 필요가 적고, 외교관들은 외교 여권을 가져 미국의 제재 명단에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측이 대응 조처에 나선다고 해도 그리 많은 방안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 상원이 최근 통과시킨 '홍콩자치법'에 따라 향후 홍콩 자치권 억압에 연루된 것으로 간주된 중국 관리·홍콩 경찰 등과 거래한 은행에도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이 가해지는 상황을 더욱 우려한다고 SCMP는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7일 관영 중앙(CC)TV에 따르면 주미 중국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중국은 미국의 잘못된 조치에 반대한다"며 "홍콩 사무는 순수히 중국 내정에 속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은 홍콩 사무에 대한 외부 세력의 어떠한 간섭도 용납하지 않는다"면서 "홍콩보안법 제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중국 중앙정부의 권리"라고 주장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은 "중국 정부의 홍콩 통치 법률은 중국 헌법과 홍콩 기본법에 근거하는 것이지 '중국과 영국의 공동선언'이 아니다"라며 미국을 향해 "'중·영 공동선언'을 근거로 홍콩 사무에 개입할 어떠한 자격도 법률적 근거도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사무소도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을 내고 간섭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사무소는 "중국 중앙정부가 홍콩 특별행정구 자치권을 파괴한다는 미국의 모함은 흑백이 전도된 것"이라며 "누구도 중국 정부보다 홍콩의 번영과 안정에 관심을 두지도 못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성명에서 "1984년 중·영 공동선언에 보장된 홍콩의 고도의 자치권을 훼손하거나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침해하는 데 책임이 있거나 연루됐다고 여겨지는 전·현직 중국 공산당 관리들에 대한 비자 제한을 발표한다. 이들의 가족 구성원도 제한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교가에서는 중국 외교부 본부가 아닌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과 홍콩 사무소가 항의 성명을 낸 것은 중국이 '수위 조절'을 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 미중 관계가 크게 악화한 상황에서 미국의 비자 제재가 큰 효과를 갖지 못하며, 중국도 마땅한 대응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시각이다.
추이레이 중국 국제문제연구원 연구원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지금은 (중국 관리들이) 미국에 갈 필요가 적고, 외교관들은 외교 여권을 가져 미국의 제재 명단에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측이 대응 조처에 나선다고 해도 그리 많은 방안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 상원이 최근 통과시킨 '홍콩자치법'에 따라 향후 홍콩 자치권 억압에 연루된 것으로 간주된 중국 관리·홍콩 경찰 등과 거래한 은행에도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이 가해지는 상황을 더욱 우려한다고 SCMP는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