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부장 경쟁력 조금 높아졌지만 여전히 일본의 90% 수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 설문조사
응답 기업 절반은 소부장 수입에 어려움 없어…66%는 한일관계 개선 희망
작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한국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이 다소 높아졌지만 여전히 일본의 90% 수준에 불과해 소부장 국산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작년 매출액 기준 1천대 기업(비금융 업종) 중 일본과의 수입 거래가 있는 국내 기업 149곳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를 주제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일본에서 소부장 등을 수입하는 주요 기업들은 작년 7월 일본의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한국 소부장 경쟁력은 작년 7월 89.6에서 이달 91.6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평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쟁력이 작년 7월 92.7에서 올해 6월 현재 98.7로 가장 많이 나아졌다.
전경련은 수출 규제 3대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폴리이미드)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이어 1차 금속 제조업의 경쟁력은 88.1에서 92.5로, 식료품 제조업은 91.9에서 96.3으로, 기타기계·장비 제조업은 97.0에서 101.0으로, 화학물질·화학제품 제조업은 96.1에서 97.8로 각각 상승했다.
수출규제와 한국에 대한 화이트리스트 제외 이후 일본에서 소부장을 수입하는 데에 실질적인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 응답 기업의 23.5%에 불과했다.
어려움이 없었다는 기업은 45.6%였다. 이는 일본의 조치가 실제 수출 규제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을 방증하는 결과라고 전경련 측은 설명했다.
실제로 조사 대상 기업의 68.5%는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나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계속해서 일본에서 소부장 수입을 해 왔다고 답했다.
다만 나머지 31.5%는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시도했으며 기존 일본 수입액의 평균 3.35%를 일본 이외의 공급선으로 대체했다고 답했다.
또 일본과 거래하는 우리 기업의 절반 이상(57.1%)은 수출 규제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대응책으로는 국내 거래선 확보(18.8%), 일본 외 대체 수입선 확보(17.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6.4%가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고, 개선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4%에 불과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66.4%)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간 중재(7.4%) 등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 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은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는 어렵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관이 꾸준히 노력하면서 한일 양국이 수출 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응답 기업 절반은 소부장 수입에 어려움 없어…66%는 한일관계 개선 희망
작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한국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이 다소 높아졌지만 여전히 일본의 90% 수준에 불과해 소부장 국산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작년 매출액 기준 1천대 기업(비금융 업종) 중 일본과의 수입 거래가 있는 국내 기업 149곳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를 주제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일본에서 소부장 등을 수입하는 주요 기업들은 작년 7월 일본의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한국 소부장 경쟁력은 작년 7월 89.6에서 이달 91.6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평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쟁력이 작년 7월 92.7에서 올해 6월 현재 98.7로 가장 많이 나아졌다.
전경련은 수출 규제 3대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폴리이미드)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이어 1차 금속 제조업의 경쟁력은 88.1에서 92.5로, 식료품 제조업은 91.9에서 96.3으로, 기타기계·장비 제조업은 97.0에서 101.0으로, 화학물질·화학제품 제조업은 96.1에서 97.8로 각각 상승했다.
수출규제와 한국에 대한 화이트리스트 제외 이후 일본에서 소부장을 수입하는 데에 실질적인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 응답 기업의 23.5%에 불과했다.
어려움이 없었다는 기업은 45.6%였다. 이는 일본의 조치가 실제 수출 규제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을 방증하는 결과라고 전경련 측은 설명했다.
실제로 조사 대상 기업의 68.5%는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나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계속해서 일본에서 소부장 수입을 해 왔다고 답했다.
다만 나머지 31.5%는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시도했으며 기존 일본 수입액의 평균 3.35%를 일본 이외의 공급선으로 대체했다고 답했다.
또 일본과 거래하는 우리 기업의 절반 이상(57.1%)은 수출 규제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대응책으로는 국내 거래선 확보(18.8%), 일본 외 대체 수입선 확보(17.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6.4%가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고, 개선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4%에 불과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66.4%)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간 중재(7.4%) 등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 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은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는 어렵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관이 꾸준히 노력하면서 한일 양국이 수출 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