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출규제에 '비상계획' 짜오라던 이재용 "갈 길 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반도체 자회사 '세메스' 현장경영
"불확실성의 끝 알 수가 없다"
삼성 반도체 노렸던 일 수출규제 조치 1년
국내 반도체 산업 생태계 조성 공들여
"불확실성의 끝 알 수가 없다"
삼성 반도체 노렸던 일 수출규제 조치 1년
국내 반도체 산업 생태계 조성 공들여
일본이 한국의 반도체·디스플레이에 대한 일방적인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한지 1년이 지난 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30일 반도체 자회사를 찾아 생산현장을 둘러본 뒤 중장기 사업전략을 점검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일본이 삼성전자 등을 겨냥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부품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내리자 일본으로 긴급 출장을 떠나 현지 인맥을 통해 해법을 모색하는 한편 최고경영자들을 긴급 소집해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 마련을 주문한 바 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자회사인 '세메스' 천안사업장을 찾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생산공장을 둘러보고 중장기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이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산업 동향 ▲설비 경쟁력 강화 방안 ▲중장기 사업 전략 등을 논의한 후 제조장비 생산공장을 살펴봤다.
세메스는 1993년 삼성전자가 설립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설비제작 전문 기업으로 경기 화성과 충남 천안 등 국내 두 곳의 사업장에 20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미국 오스틴과 중국 시안에도 해외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불확실성의 끝을 알 수가 없고 갈 길도 멀다"며 "멈추면 미래가 없고 (그러기 않기 위해선) 지치면 안된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는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반도체부문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박학규 DS부문 경영지원실장 사장, 강호규 반도체연구소장, 강창진 세메스 대표이사 등 삼성의 부품·장비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경영진이 함께했다.
이 부회장의 이번 행보는 그동안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약점으로 지적됐던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육성해 국내 산업 생태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경영활동의 일환이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소재·부품·장비 수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일본으로 직접 출장을 다녀온 후 긴급 사장단회의를 소집해 거래선 다변화 등 '출구모색'을 논의한 바 있다.
이 부회장은 당시 "흔들리지 않고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역량을 키우자"며 사장단에게 일본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공급을 지연시킬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비상계획'을 마련해 시나리오 경영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 9일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후 잇따라 현장경영에 나서고 있다. 지난 15일 삼성전자 반도체 및 무선통신 사장단과 릴레이 간담회를 가진 이 부회장은 19일에는 반도체 연구소, 23일에는 생활가전사업부를 찾아 중장기 전략을 논의했다.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검찰 수사심의위원회는 지난 26일 이 부회장 관련 현안위에서 '수사 중단 및 불기소'를 의결하고 이를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 권고했다. 심의위 의견이 법적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1년 넘게 수사를 끌어 온 검찰로서는 수사·기소의 정당성과 타당성에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됐다는 평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이 부회장은 지난해 일본이 삼성전자 등을 겨냥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부품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내리자 일본으로 긴급 출장을 떠나 현지 인맥을 통해 해법을 모색하는 한편 최고경영자들을 긴급 소집해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 마련을 주문한 바 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자회사인 '세메스' 천안사업장을 찾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생산공장을 둘러보고 중장기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이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산업 동향 ▲설비 경쟁력 강화 방안 ▲중장기 사업 전략 등을 논의한 후 제조장비 생산공장을 살펴봤다.
세메스는 1993년 삼성전자가 설립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설비제작 전문 기업으로 경기 화성과 충남 천안 등 국내 두 곳의 사업장에 20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미국 오스틴과 중국 시안에도 해외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불확실성의 끝을 알 수가 없고 갈 길도 멀다"며 "멈추면 미래가 없고 (그러기 않기 위해선) 지치면 안된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는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반도체부문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박학규 DS부문 경영지원실장 사장, 강호규 반도체연구소장, 강창진 세메스 대표이사 등 삼성의 부품·장비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경영진이 함께했다.
이 부회장의 이번 행보는 그동안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약점으로 지적됐던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육성해 국내 산업 생태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경영활동의 일환이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소재·부품·장비 수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일본으로 직접 출장을 다녀온 후 긴급 사장단회의를 소집해 거래선 다변화 등 '출구모색'을 논의한 바 있다.
이 부회장은 당시 "흔들리지 않고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역량을 키우자"며 사장단에게 일본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공급을 지연시킬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비상계획'을 마련해 시나리오 경영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 9일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후 잇따라 현장경영에 나서고 있다. 지난 15일 삼성전자 반도체 및 무선통신 사장단과 릴레이 간담회를 가진 이 부회장은 19일에는 반도체 연구소, 23일에는 생활가전사업부를 찾아 중장기 전략을 논의했다.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검찰 수사심의위원회는 지난 26일 이 부회장 관련 현안위에서 '수사 중단 및 불기소'를 의결하고 이를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 권고했다. 심의위 의견이 법적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1년 넘게 수사를 끌어 온 검찰로서는 수사·기소의 정당성과 타당성에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됐다는 평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