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상가상…中서 코로나 이어 '인간전염' 신종 돼지독감 창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구진 "인간 감염 가능한 필수 특징 모두 갖췄다"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는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새로 발견돼 국제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CCDCP)와 현지 대학 소속 과학자들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고 외신들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G4'라고 명명된 해당 바이러스는 신종인플루엔자(H1N1) 계통으로 돼지에 의해 옮겨지나 사람이 감염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G4가 팬데믹을 유발한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인간 감염에 필요한 모든 필수적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2011~2018년 중국 10개 지방의 도축장과 동물병원의 돼지들로부터 3만 건의 검체를 채취해 179개의 돼지독감 바이러스를 분리해냈다. 그 결과 새로 발견된 바이러스 가운데 대다수는 2016년부터 이미 돼지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사람과 유사한 감염 증상을 보이는 페럿(Ferret·족제비의 일종)을 이용한 바이러스 실험에서 신종 바이러스가 다른 바이러스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며 전염성이 강하고 인간 세포에서 자가 복제했다고 밝혔다.
멕시코에서 발병해 2009년 전세계에 퍼졌던 신종플루도 돼지에서 인간에게 전염된 변종 바이러스다. 게다가 중국에서 사육하는 돼지들은 약 5억 마리로 세계에서 가장 많아 전염 가능성도 높다.
가장 큰 문제는 이 바이러스에 대해 사람은 면역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 신종 바이러스가 돼지 독감 바이러스 유전자도 갖고 있지만 핵심 유전자는 유라시아 조류 독감 유전자 바이러스와 여러 포유류 변종으로 구성돼 있는 탓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변이 과정을 거치며 사람 간 전염이 용이해지면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직 코로나19가 끝나지 않았는데 또 다른 바이러스가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이유다.
제임스 우드 케임브리지대 수의학과장은 "우리가 끊임없이 새로운 병원균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야생동물보다 인간과 더 가까운 가축들이 중요한 바이러스의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에드워드 홈즈 시드니대 교수(진화생물학)도 "논문에 제시된 데이터를 보면 이 바이러스는 인간 사이에 출현할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상황은 매우 면밀히 관찰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이 바이러스가 실제로 인간 전염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마사 넬슨 미국 국립보건원(NIH) 포가티 국제센터 진화생물학자는 해당 연구에서 이용된 표본 규모가 작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바이러스 확산이 실제로 큰 문제로 발전할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표본 추출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 세인트주드 어린이병원에서 독감 조사관으로 일했던 로버트 웹스터는 "이 변종 바이러스가 인간 사이에 쉽게 전염될지 판단하는 것은 추측일 뿐"이라며 "우리는 전염병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까지는 그것이 현실이 될지 알지 못한다. 오직 신만이 알 것"이라고 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CCDCP)와 현지 대학 소속 과학자들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고 외신들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G4'라고 명명된 해당 바이러스는 신종인플루엔자(H1N1) 계통으로 돼지에 의해 옮겨지나 사람이 감염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G4가 팬데믹을 유발한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인간 감염에 필요한 모든 필수적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2011~2018년 중국 10개 지방의 도축장과 동물병원의 돼지들로부터 3만 건의 검체를 채취해 179개의 돼지독감 바이러스를 분리해냈다. 그 결과 새로 발견된 바이러스 가운데 대다수는 2016년부터 이미 돼지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사람과 유사한 감염 증상을 보이는 페럿(Ferret·족제비의 일종)을 이용한 바이러스 실험에서 신종 바이러스가 다른 바이러스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며 전염성이 강하고 인간 세포에서 자가 복제했다고 밝혔다.
멕시코에서 발병해 2009년 전세계에 퍼졌던 신종플루도 돼지에서 인간에게 전염된 변종 바이러스다. 게다가 중국에서 사육하는 돼지들은 약 5억 마리로 세계에서 가장 많아 전염 가능성도 높다.
가장 큰 문제는 이 바이러스에 대해 사람은 면역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 신종 바이러스가 돼지 독감 바이러스 유전자도 갖고 있지만 핵심 유전자는 유라시아 조류 독감 유전자 바이러스와 여러 포유류 변종으로 구성돼 있는 탓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변이 과정을 거치며 사람 간 전염이 용이해지면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직 코로나19가 끝나지 않았는데 또 다른 바이러스가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이유다.
제임스 우드 케임브리지대 수의학과장은 "우리가 끊임없이 새로운 병원균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야생동물보다 인간과 더 가까운 가축들이 중요한 바이러스의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에드워드 홈즈 시드니대 교수(진화생물학)도 "논문에 제시된 데이터를 보면 이 바이러스는 인간 사이에 출현할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상황은 매우 면밀히 관찰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이 바이러스가 실제로 인간 전염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마사 넬슨 미국 국립보건원(NIH) 포가티 국제센터 진화생물학자는 해당 연구에서 이용된 표본 규모가 작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바이러스 확산이 실제로 큰 문제로 발전할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표본 추출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 세인트주드 어린이병원에서 독감 조사관으로 일했던 로버트 웹스터는 "이 변종 바이러스가 인간 사이에 쉽게 전염될지 판단하는 것은 추측일 뿐"이라며 "우리는 전염병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까지는 그것이 현실이 될지 알지 못한다. 오직 신만이 알 것"이라고 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