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금 먼저 갚았다 바보됐습니다"…인천 송도 '대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기과열지구 지정에 LTV 70→40%
중도금 상환했다가 대출 막혀
중도금 상환했다가 대출 막혀

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규제 무풍지대에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인천 연수구는 담보인정비율(LTV)이 70%에서 40%로 크게 줄었다.
한씨가 분양받은 아파트는 전체 분양가의 10%를 계약금으로 내고, 분양가의 60%를 6회에 걸쳐 중도금으로 납입한다. 잔금 30%는 입주 때 납입하면 된다. 일반적인 아파트 분양과 비슷한 수순이다.
그가 분양받은 34평형 아파트의 분양가는 4억9000만원. 담보의 가치도 4억9000만원으로 책정됐다. 계약금 10%(4900만원)는 그동안 모아둔 돈으로 냈고, 중도금은 2억9400만원을 대출받아 마련했다.
문제는 한씨가 중도금 대출을 일부 갚으면서 시작됐다. 그는 중도금 대출 중 1억원을 지난 5월 상환했다. 연 3.8%의 이자가 부담스러워서다. 상환한 1억원을 향후 추가로 대출받아, 이것으로 잔금을 납입하면 될 거라 봤다. 전체 대출 가능액은 LTV 70%인 3억4300만원으로 한도에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 한씨의 관련 대출은 1억9400만원이다.
은행 측도 즉각적인 답을 내놓지 못했다. 과거 규제가 없을 때는 LTV 70% 한도 내에서 추가 대출이 가능했지만, 중간에 투기지역으로 바뀐 상황은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규제에 대한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송도를 찾은 금융감독원 직원들도 마찬가지였다. 금융위원회의 유권해석을 받아야 한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금융위는 추가 대출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가 2018년 다주택자의 대출을 규제하기 위해 내놓은 9·13 대책 이후 비슷한 사례에서도 추가 대출이 허용된 경우는 없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한씨는 LTV가 70%에서 40%로 낮아지면서 대출 한도가 3억4300만원에서 1억9600만원으로 줄었다. 현재 대출 1억9400만원에서 2000만원만 추가로 대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A은행 송도지점 부지점장은 "중도금 대출을 갚는 경우가 드문 건 사실이지만 송도에서만 수 십여 건의 사례가 있고 관련 문의도 많았다"며 "무조건 투기꾼으로 몰아세울 것이 아니라, 조금 더 구체적이고 포용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진우/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