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179만명 스타 유튜버 대도서관 "재미로 유튜버? 창업한다는 자세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돈 벌 생각으로 뛰어들면 '필패'
'내 콘텐츠로 좀 놀겠다' 접근해야
"자녀와 함께 유튜브 만들며
재능과 창의성 키워줘야"
'내 콘텐츠로 좀 놀겠다' 접근해야
"자녀와 함께 유튜브 만들며
재능과 창의성 키워줘야"
구독자 179만 명을 보유한 1세대 스타 유튜버 대도서관(본명 나동현·42·사진)이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식당을 창업한다는 생각으로 유튜브에 뛰어들라”고 조언했다. 예전엔 단순히 재미로 유튜브를 시작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투자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편집할 수 있는 사람을 주방장으로 뽑고, 어떤 콘텐츠를 시그니처 메뉴로 할 것인지, 서브메뉴는 무엇인지를 기획해야 합니다. 식당과 달리 부동산 비용은 들지 않잖아요.”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096142.1.jpg)
그의 진짜 성공 비결은 기획력에 있다. 게임과 사주풀이 같은 놀이를 체계화된 콘텐츠로 내놨다. 그는 고졸 출신으로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우수사원으로 뽑힐 정도로 잘나가는 직장인이었지만 창업의 꿈을 품고 게임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며 2010년 퇴사를 결정했다. 개인 유튜브 시대가 열리면서 2012년 6개월 만에 월 1200만원 수익을 냈고, 이후 CJ ENM의 1인 창작자 지원사업 다이아티비 1호 파트너가 됐다.
그는 “유튜브로 돈 버는 시대가 열렸지만 처음부터 돈 벌 생각으로 뛰어들면 필패”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잘나가는 먹방이나 게임 콘텐츠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자기가 진짜 하고 싶었던 콘텐츠를 가지고 좀 더 놀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할 것”을 당부했다.
![대도서관(나동현·오른쪽)이 한국경제신문 유튜브 방송 ‘더부자’를 촬영하고 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096058.1.jpg)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