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임금피크 직접 해결"…시니어 금융노조 출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産銀 등 8곳 50세 이상 참여
'세대별 복수노조' 시대 본격화
'세대별 복수노조' 시대 본격화
50세 이상 금융권 근로자로 구성된 제2금융노조가 출범한다. 임금피크제, 희망퇴직 등 중·장년 근로자와 관련한 주요 문제를 직접 해결하겠다는 취지다. 금융권의 세대 갈등이 극에 달했다는 분석이다. ‘세대별 복수노조’ 시대가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씨티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서울보증보험 등 여덟 곳의 시니어(50세 이상) 노조가 힘을 합쳐 연합노조인 제2금융노조(가칭 50+금융노동조합연대회의)를 결성하기로 했다. 조합원은 2000명가량으로 이달 말께 정식 출범할 계획이다.
1금융권에서 금융노조 외에 별도 노조가 설립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별도 조직을 구성한 건 금융권에서 중·장년 근로자 관련 이슈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단협 안건으로 ‘65세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개선’을 내걸었지만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제2금융노조 관계자는 “고령 근로자 관련 현안은 기존 노조의 협상 우선순위에서 대부분 뒤로 밀려나 있다”며 “국책은행 희망퇴직 등 주요 사안에서 금융권에 직접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시니어 이슈'에…3大 국책은행장들도 머리 맞댔지만
금융권 시니어 노조들이 ‘제2 금융노조’를 만든 것은 중·장년 근로자 관련 이슈가 매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임금피크제를 적용받는 직원은 불어나는데 처우는 계속 악화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희망퇴직이 사문화된 국책은행은 갈등이 더 극심하다. 새로 출범하는 제2 금융노조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일부 은행장은 이 자리에서 희망퇴직금을 ‘임금피크제 이후 임금의 75% 이상’으로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노조 측은 100% 이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협상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별개로 금융노조는 ‘65세 정년연장, 60세 임금피크제 돌입’을 안건으로 올해 임단협을 진행 중이다. 현재 대부분의 금융사는 ‘55세 임금피크제 적용, 60세 정년’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과 노사 입장차를 감안하면 올해 안에 타협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각 시니어 노조가 협상력 있는 복수노조화를 위한 시도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신용보증기금 시니어노조가 가장 먼저 사측으로부터 복수 교섭권을 인정받았다. 기업은행 시니어노조와 산업은행 임금피크노조도 교섭권 분리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정호 기업은행 시니어노조 사무총장은 “희망퇴직을 현실화하고 고령 근로자에게 퇴로를 열어주는 것은 청년 고용과 사회적 갈등 해소에도 도움이 되는 일”이라며 “금융권 조직의 선순환을 위해 은퇴를 앞둔 세대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금융권의 세대 갈등이 복수노조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책은행 임금피크제 직원 비중은 산업은행 8.6%, 기업은행 3.4%, 수출입은행 3.4% 등이었다. 내년에는 전체 국책은행 직원의 10%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령대별로 이해관계가 확연히 달라지고 있어 세대별 복수노조가 금융권에 보편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씨티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서울보증보험 등 여덟 곳의 시니어(50세 이상) 노조가 힘을 합쳐 연합노조인 제2금융노조(가칭 50+금융노동조합연대회의)를 결성하기로 했다. 조합원은 2000명가량으로 이달 말께 정식 출범할 계획이다.
1금융권에서 금융노조 외에 별도 노조가 설립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별도 조직을 구성한 건 금융권에서 중·장년 근로자 관련 이슈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단협 안건으로 ‘65세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개선’을 내걸었지만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제2금융노조 관계자는 “고령 근로자 관련 현안은 기존 노조의 협상 우선순위에서 대부분 뒤로 밀려나 있다”며 “국책은행 희망퇴직 등 주요 사안에서 금융권에 직접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시니어 이슈'에…3大 국책은행장들도 머리 맞댔지만
독자노선 강화하는 금융권 시니어 노조
금융권 시니어 노조들이 ‘제2 금융노조’를 만든 것은 중·장년 근로자 관련 이슈가 매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임금피크제를 적용받는 직원은 불어나는데 처우는 계속 악화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희망퇴직이 사문화된 국책은행은 갈등이 더 극심하다. 새로 출범하는 제2 금융노조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3대 국책은행장도 머리 맞대
고령 근로자 현안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2015년 이후 사문화된 국책은행의 희망퇴직 문제가 대표적이다. 최근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방문규 수출입은행장, 윤종원 기업은행장, 각 은행 노조 위원장,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사정 간담회를 열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참석하지 않았다. 국책은행 및 금융 공기업의 희망퇴직자에게 주어지는 퇴직금은 ‘임금피크제 이후 임금의 45%’로 제한돼 있다. 퇴직금 수준이 너무 낮아 대부분 억지로 정년을 채우고 있다는 게 업계 얘기다.일부 은행장은 이 자리에서 희망퇴직금을 ‘임금피크제 이후 임금의 75% 이상’으로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노조 측은 100% 이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협상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별개로 금융노조는 ‘65세 정년연장, 60세 임금피크제 돌입’을 안건으로 올해 임단협을 진행 중이다. 현재 대부분의 금융사는 ‘55세 임금피크제 적용, 60세 정년’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과 노사 입장차를 감안하면 올해 안에 타협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세대별 복수노조 시대 열리나
제2 금융노조가 출범한 것은 이런 문제들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겠다는 취지다. 지난해부터 주요 은행과 금융공기업마다 시니어 노조가 조직됐으나 대부분 기존 노조를 통해 사측과 협상해왔다. 1사 1노조 원칙에 따라 교섭권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앞으로는 각 시니어 노조가 협상력 있는 복수노조화를 위한 시도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신용보증기금 시니어노조가 가장 먼저 사측으로부터 복수 교섭권을 인정받았다. 기업은행 시니어노조와 산업은행 임금피크노조도 교섭권 분리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정호 기업은행 시니어노조 사무총장은 “희망퇴직을 현실화하고 고령 근로자에게 퇴로를 열어주는 것은 청년 고용과 사회적 갈등 해소에도 도움이 되는 일”이라며 “금융권 조직의 선순환을 위해 은퇴를 앞둔 세대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금융권의 세대 갈등이 복수노조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책은행 임금피크제 직원 비중은 산업은행 8.6%, 기업은행 3.4%, 수출입은행 3.4% 등이었다. 내년에는 전체 국책은행 직원의 10%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령대별로 이해관계가 확연히 달라지고 있어 세대별 복수노조가 금융권에 보편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