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박병석 국회의장이 `강남 아파트는 보유하면서 지방 아파트를 처분한 것`으로 한국경제TV 취재결과 드러났습니다.

청와대 다주택 참모진들에게 `집 한채만 남기고 팔라`고 재차 강조한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 역시 마찬가집니다.

지역구가 아닌데도 강남 아파트를 보유한 국회의원들이 적지 않은데,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는 정부의 외침이 시장에 먹힐까요.

신인규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6선 의원이자 21대 국회를 이끌고 있는 박병석 국회의장.

다주택자인 박 의장은 최근 재건축을 앞둔 서울 서초구의 아파트는 남겨두고 지역구인 대전 서구의 아파트를 처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집 한 채만 남기고 팔라`고 했지만, 정작 본인은 반포 아파트를 두고 과거 지역구였던 청주의 주택을 팔아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사례입니다.

박 의장 측은 "국회의장이 되면 2년 동안은 지역구에 내려갈 수 없어 현지 아파트를 처분했고, 강남 아파트는 40년 전에 구입한 것으로 지금 팔면 국회의원이 부동산 차익을 봤다는 여론을 우려해 그대로 둔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박 의장 뿐 아니라 21대 국회의원들의 재산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의원들조차도 강남 집값이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는 신고 등록 기준 지역구가 아닌데도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주택을 보유한 21대 의원들의 재산 현황을 조사했습니다.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55명(더불어민주당 20명·더불어시민당 3명·미래통합당 22명·미래한국당 6명·열린민주당 1명·무소속 3명)이 여기에 해당됐습니다.

이들 가운데 지난 2월 총선 출마 전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를 매각한 이낙연 의원을 제외하면 지역구 외 강남 주택을 처분했다고 응답한 의원은 없었습니다.

노영민 실장이나 박병석 의장처럼 강남은 놔두고 다른 곳의 주택을 처분한 다주택자 의원은 있었습니다.

"지역구는 아니지만 강남에 실거주 중이다", "살아계신 부모님이 물려주신 주택 지분을 아직 정리할 수 없었다"는 등 강남을 떠나지 못하는 의원들의 사정은 다양했습니다.

국회의원과 고위공직자들도 부당한 사유재산권 침해를 받지 않아야 하는 국민의 한 사람이지만, 여론은 따갑기만 합니다.

<인터뷰> 시민단체 관계자

"본인의 지역구도 아니면서 강남에 집을 가지고 있다는 건 강남 불패라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도 안 갖고 계시고, 강남 불패를 하도록 더 어떻게 보면 정부 정책이나 입법을 하도록 끌고 가겠다는 것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봅니다."

강남 아파트만은 꼭 붙잡고 있는 고위직들을 두고, 국민들이 부동산 정책과 입법이 제대로 작동할 것이라는 공감을 얻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이들의 모습이 사실상 `오를대로 오른 집값이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로 작용하는 점 역시 외면할 수 없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신인규입니다.
[단독] 국회의장도 `강남 사랑`…대책 약발 안 먹혀 [집값 잡겠다 vs 못잡는다…정부-시장 `한판`②]
신인규기자 ikshi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