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중소기업 상품 전시행사 ‘스피릿 오브 아메리카 쇼케이스’에 참석해 신제품 야구방망이를 휘둘러보고 있다. 그는 지난달 미국 일자리가 두 달 연속 증가했다는 노동부 발표를 인용하며 “미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루 수십여개 행정명령 사인회, 심야의 트루스소셜(SNS) 깜짝 게시, 현직 대통령 최초의 수퍼볼 관람, 유명 자동차 경주대회 데이토나 500 레이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한달을 맞이한 가운데 매일 새로운 정책들과 이벤트를 홍수처럼 쏟아내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워싱턴 정계 뿐 만이 아니라 전세계 모두가 트럼프 대통령에게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2기 취임 초반 지지율은 1기때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언론과 반대 세력들이 새 정책을 두고 논란을 형성하기 전에 수많은 정책과 이벤트들로 시선을 분산시키는 ‘홍수 전략(Flood-the-zone)’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속도전'으로 언론 장악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반부터 전방위적으로 각종 정책들을 발표하면서 워싱턴을 뒤흔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임기초반 ‘속도’와 ‘양’으로 밀어부치면서 여론을 장악해 가고 있다는 진단이다.이같은 트럼프 전략은 트럼프 1기 정부 책사로 불렸던 스티브 배넌이 언급한 적이 있다. 배넌은 “이같은 전략은 이미 몇 년 동안 준비해온 것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압도적인 정부 조치들을 쏟아내면서 어디를 봐야 할지, 무엇을 먼저 해결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공격하는 것”이라며 “트럼프 1기때도 실행했던 전략인데 이번엔 더욱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전략의 핵심은 ‘속도전’으로 요약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후 일주일간 300여 개에 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남부국경 단속을 강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이 글로벌 AI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딥시크가 저렴하고 낮은 성능의 칩을 활용해 미국 AI 모델에 떨어지지 않는 기능을 구현해내면서다. AI 시장에서 미국 중심의 기술 독점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AI 투자 속도 높이는 美 빅테크 기업지난달 딥시크가 개발한 추론 AI 모델 ‘R1’의 등장은 단순한 신생 AI 모델의 성장 이상으로 해석되고 있다. 딥시크는 기존 미국 AI 기술 기업들이 필수적으로 사용했던 고성능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며 AI 개발 방식의 혁신을 예고했다. 실제로 챗봇아레나에 따르면 딥시크의 글로벌 챗봇 성능 순위는 미국의 구글와 오픈AI에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앞다퉈 AI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AI 연구개발(R&D)뿐만 아니라 AI 칩, 서버, 네트워크 인프라 등에 대한 전방위적인 투자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들의 공통적인 목표는 AI 모델 개발과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장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오라클·구글·메타의 총 AI 인프라 투자액은 2017년 417억 달러에서 2023년 1472억 달러로 6년 사이 3.5배 뛰었다. 작년은 2237억 달러, 올해는 2742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각 기업들은 올해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대규모 자본 지출 계획을 내놓았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의 올해 자본 지출(Capex) 규모는 2150억 달러(약 310조 24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대비 약 45% 증가한 수치다.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에 참석했다.시 주석은 민영기업 대표들의 발언을 들은 뒤 중요한 연설을 했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지지 않았다.지금까지 시 주석은 반도체 자립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경제 발전 촉진 등을 강조해왔다. 시 주석은 최근 미국과 무역 긴장 고조와 중국 경기 침체 장기화로 힘들어 할 기업인들을 독려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CCTV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과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이자 전기차로도 진출한 레이쥔 샤오미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왕싱싱 유니트리 회장 등이 보인다. 이어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와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의 왕촨푸 BYD 회장, 세계 최대 배터리기업 쩡위친 CATL 회장, 렁유빈 중국전국공산업연합회 부회장 등의 모습도 보인다.김영석 한경디지털랩 PD youngsto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