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 실패, 왜 부담은 국민 몫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유세 폭탄…1주택자의 분노
잠실주공5 거주 50대 보유세
2017년 381만원→올해 837만원
내년 종부세 강화땐 1200만원
"세금 무서우면 집 팔라는데
강남은 현금부자만 살란 말이냐"
잠실주공5 거주 50대 보유세
2017년 381만원→올해 837만원
내년 종부세 강화땐 1200만원
"세금 무서우면 집 팔라는데
강남은 현금부자만 살란 말이냐"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 5단지 전경.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19700518.1.jpg)
2년 전 회사를 퇴직한 그는 현재 별다른 소득이 없다. 이씨는 “세금 무서우면 집 팔라는데 강남은 현금부자만 살란 말이냐”고 말했다.
!["부동산 정책 실패, 왜 부담은 국민 몫인가"](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09509.1.jpg)
종부세법 개정안에는 공시가격 9억원 이상 주택에 부과되는 종부세를 1주택자에 대해서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1주택자, 조정대상지역 외 2주택 보유자에 대한 종부세율은 0.1~0.3%포인트 인상하고 3주택 이상 다주택자, 조정대상지역 2주택 보유자에 대한 세율은 0.2~0.8%포인트 높인다. 이 법안은 작년 ‘12·16 부동산 대책’에 담겼지만 지난 20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종부세법 개정안 처리가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2017년 5월 출범한 이번 정부는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종부세 인상 등을 담은 부동산 세제 개편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대책의 약발은 없었고, 집값은 계속 올랐다. 이 과정에서 집값이 상승해도 가처분소득이 전혀 늘지 않은 이씨 같은 1주택 은퇴자는 세금 부담에 등골이 빠지게 됐다.
최진석/정인설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