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재정교부금 2조1000억원 감액
유, 초, 중, 고 재정 축소 우려
이 와중에 대학 등록금 반환 예산은 반영
민주당 소속 엄태용 수원시장 등 지자체 반발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열린 전국 42개 대학 3500명 대학생 등록금 반환 집단 소송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01.23110801.1.jpg)
특히 전문가들은 가장 논란이 되는 증액 사업 중 하나로 대학생 등록금 간접 지원을 위한 예산 1000억원을 꼽고 있다. 지방교부세·지방교육재정교부금 총 4조1000억원을 감액하는 가운데 추가된 예산이기 때문이다.
지방 교육청 재정의 원천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줄어 지방 초·중·고교는 발을 동동 구르게 된 상황에서 여당이 청년층 여론 잡기에만 나선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앞서 국회 교육위는 지난달 29일 상임위 예비 심사에서 올해 본예산에 들어 있다가 감액된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증액하고 일부 사업을 신설해 총 2718억원을 올려 안을 넘겼다.
하지만 예산소위 과정에서 이 사업 증액 요구를 전액 삭감한 뒤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 지원 사업'을 새로 편성해 1000억원을 신규 배정했다. 교육위의 요구보다 1718억원 규모가 줄어든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방교부세는 약 2조원,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약 2조1000억원 총 4조1000억원이 삭감됐다. 이에 정부로부터 교부세와 교부금을 내려받는 각 지자체와 시·도교육청은 기존 사업 축소 및 포기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다.
정부는 매년 내국세 총액의 일정 비율을 각 지자체에 지방교부세(19.2%)로, 시·도교육청에 지방교육재정교부금(20.3%)으로 내려보낸다. 정부는 이번 3차 추경에서 정부 세입 예측치를 감액시켜 교부세와 교부금을 삭감했다.
![이종배 미래통합당 정챙위의장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379회국회(임시회) 제7차 본회의에서 의사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01.23110714.1.jpg)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전국협의회)는 지난 2일 3차 추경 처리에 앞서 이 같은 지방교부세·지방교육재정교부금 삭감에 성명을 내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엄태영 수원시장(전국협의회 대표회장)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당초 2020년 본예산 편성 시 보다 지방세수가 크게 미달되고 있으며 더욱 큰 문제는 경기침체 국면에서 지역경제는 평균 이하의 역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지방교부세의 감액이 아니라 오히려 지방교부세를 증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