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 조종사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3일 AK홀딩스 앞에서 제주항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항공이 구조조정과 임금체불을 지휘해 놓고 인수합병(M&A)을 거부하고 있다는 내용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3일 AK홀딩스 앞에서 제주항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항공이 구조조정과 임금체불을 지휘해 놓고 인수합병(M&A)을 거부하고 있다는 내용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10영업일 안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라"는 최후통첩을 한 데 대해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가 "제주항공이 셧다운(자체운항정지)과 희망퇴직을 지시한 만큼 임금체불 등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3일 제주항공의 모기업인 애경그룹의 지주사 AK홀딩스 앞에서 제주항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항공이 저비용항공사(LCC)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위해 이스타항공을 파산으로 내몰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셧다운과 희망퇴직을 지시했다"며 이에 따른 임금체불과 파산위기 역시 제주항공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열흘 내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라"는 최후통첩을 한 데 대해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가 3일 제주항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셧다운과 희망퇴직을 지시한 만큼 제주항공이 임금체불 등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열흘 내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라"는 최후통첩을 한 데 대해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가 3일 제주항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셧다운과 희망퇴직을 지시한 만큼 제주항공이 임금체불 등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영업일 기준 10일 이내에 선행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주식매매계약(SPA)를 해지할 수 있다는 내용의 2차 공문을 발송했다. 800억원가량의 부채를 해결하라는 최후통첩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자본잠식에 빠져 현금이 바닥난 이스타항공이 사실상 파산 수순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종사노조는 제주항공의 공문에 대해 "최후통첩이자 사실상 계약해지에 가까운 공문을 보냈다"며 "체불임금, 각종 미지급금 등 800억원에 달하는 부채를 15일 이내에 갚으라는 것은 전혀 불가능한 일을 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양해각서(MOU) 체결 후 자신들이 구조조정을 지시해왔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책임은 계약과 무관하다'는 내용을 계약서에 담아놓고도 3월 이후 발생한 부채를 이스타항공이 갚으라는 것은 날강도와 다름없다"고 비난했다.
이스타항공이 M&A전 걸림돌로 꼽히던 선결 조건 이행에 대해 "문제 없다"는 취지의 공문을 보낸데 대해 제주항공이 "10일 이내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김포공항 국내선 이스타항공 발권장의 모습. /사진=뉴스1
이스타항공이 M&A전 걸림돌로 꼽히던 선결 조건 이행에 대해 "문제 없다"는 취지의 공문을 보낸데 대해 제주항공이 "10일 이내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김포공항 국내선 이스타항공 발권장의 모습. /사진=뉴스1
전날 제주항공의 최후통첩과 '셧다운' 지시 사실 등이 알려지자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규탄 대상을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서 인수 주체인 제주항공과 애경그룹으로 확대했다.

조종사노조는 "이스타항공의 부채 급증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승객 급감도 원인이지만 구조조정에 몰두하면서 고용유지지원금을 못 받았고, 이유 없이 전면 운항 중단이 이어져 손실을 줄이기 못했기 때문"이라며 "제주항공의 이익을 위해 이스타항공을 희생해 자력 회생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인수를 거부한다면 정부 지원이 여의치 않은 상태에서 파산 말고는 다른 길이 없다"고 호소했다.

한편, 이스타항공 사측은 전날 제주항공에 다시 공문을 보내 지난달 29일 이상직 의원의 '지분 헌납'에 대해 재차 설명하고 인수 작업에 속도를 내 줄 것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